인천시가 지역 내 사회복지관의 전문인력 충원 등 기능을 강화한다.
1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22년 11월 개관을 목표로 까지 남동구 구월동 1551 1천83㎡에 사회복지관 신축을 추진 중이다. 인천도시공사의 구월 장기공공주택 건설사업에 의한 의무적 사회복지관이다.
또 시는 오는 2023년 개관을 목표로 중구 운남동 1709의2 1천280㎡에 65억원을 투입, 지하1층~지상2층 규모의 영종종합사회복지관도 신축한다.
시는 지난 2010년께부터 재정이 악화하자 그동안 1곳 당 최소 70~80억원이 필요한 사회복지관을 확충하지 못했다. 2019년 연수구에 지은 함박종합사회복지관이 유일하다.
특히 시는 또 복지사각지대 방지를 위해 사회복지관에 인력도 확충한다. 앞서 2019년 인천복지재단이 한 ‘사회복지관 기능활성화 및 보조금지원유형 합리적 방안연구’를 통한 복지관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사례관리기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긴급하고 장기적인 사례 과리대상이 점차 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은 복지관에 사례관리인력이 서울·경기보다 적다.
이에 따라 시는 각 복지관별 1명씩 사례관리 전문인력 20명을 배치할 예정이다.
시는 또 노후한 사회복지관 시설에 대한 예산 지원도 한다. 현재 인천에 사회복지관은 20곳 중 20년 이상이 지난 곳은 9곳(45%)이다. 시는 2020년 15개 시설에 시설 개·보수 및 장비 보강 등 18개 사업에 2억9천559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민선7기 들어 꾸준히 이들 시설에 지원하는 예산 규모를 늘리고 있다. 2018년 8천500만원이던 것이 2020년 1억6천600만원으로 배 가까이 올랐다.
이 밖에 시는 복지관이 없거나 도서지역, 취약계층 밀집지역 등을 중심으로 ‘찾아가는 복지관’도 운영한다. 사회복지관 1곳 당 1천만원의 프로그램비를 인상하는 등 2억원을 지원하려 한다. 또 3년간 행복센터에서 시범운영해 온 영종공감복지센터도 운영 기간을 연장한다. 시는 영종종합사회복지관이 문을 열때까지 센터를 중산동의 한 건물로 옮겨 운영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찾아가는 복지를 위한 사례관리 전문가 확대 배치를 통해 지역사회 중심의 포용적 복지를 실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