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5선, 수원무)이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급부상한 2차 긴급재난지원금과 관련, “현 상황에 맞춰 선별지급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정부 시절 경제부총리 출신으로 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비상경제대책본부장을 지낸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1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에는 밖으로 나가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이었다”며 “이 때문에 보편지급으로 소비를 늘려 영세 자영업자 등을 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실제 기획재정부가 파악한 1차 재난지원금 사용처에 따르면 카드로 지출된 사용금액(9조3천억원) 가운데 60%가량인 5조6천억원이 영세 자영업자, 전통시장 등에서 쓰였다”고 분석했다.
특히 김 의원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속에서는 선별지급이 재난지원금 지급 취지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김 의원은 “2.5단계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중인 지금은 보편지급을 하더라도 결국 온라인 소비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정된 재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거리두기로 영업을 할 수 없어 실제 소득이 줄어든 업종·계층을 직접 지원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이낙연 대표와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4차 추경을 통한 재난지원금 선별지급에 사실상 합의했다.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최대의 정책 효과를 위해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힘줘 말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