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신속히 VS 남부 연장 VS 우리동네도 정차
GTX C노선(양주 덕정~수원)을 두고 지역주민 간 갈등이 커지고 있다. 사업의 신속 추진을 위한 원안 유지ㆍ경기남부권 노선 연장ㆍ역 신설 등 지역별 요구 사항이 엇갈리는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원안 유지’로 입장을 정리, 이에 따른 ‘반발 후폭풍’이 밀려올 전망이다.
2일 오후 5시 기준으로 경기도민 청원에는 ‘GTX C노선 원안 추진 요청합니다(4천652명)’, ‘GTX C노선 병점ㆍ오산ㆍ지제역 연장을 요청합니다(3천144명)’, ‘GTX C노선 병점역 연장 요청건(1천692명)’ 등 GTX C노선 관련 내용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 GTX C노선은 잠정 기본계획상 양주 덕정~수원(74.8㎞)을 잇는 4조3천88억원 규모의 광역급행철도 사업이다. 내년 말 착공을 정상 진행하려면 다음 달께 기본계획 수립이 마무리돼야 한다. 이에 국토부는 관련 지자체 의견을 듣고 있다.
지자체별로 요구 사항은 각기 다르다. 우선 도민 청원에서도 나온 화성ㆍ오산ㆍ평택은 경기남부 연장을 강조하고 있다. 수원~병점~오산~지제 29.8㎞ 구간을 기존 경부선으로 활용, 소요 사업비가 1천677억원(차량구입비, 차량반복선 신설 등)뿐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이들 지자체는 지역 국회의원에 이어 지난 2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도 협력 체계(상생 업무협약)를 구축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역 신설을 요청하는 곳도 있다. 현재 GTX C노선은 10개역(창동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삼성역, 양재역, 과천역, 덕정역, 의정부역, 금정역, 수원역)뿐이다. 경기도만 따지면 5개다. 이에 노선 영향권이지만 철도가 정차하지 않는 안양ㆍ의왕 등은 인덕원역ㆍ의왕역 신설을 주문하고 있다. 이외 안산ㆍ시흥ㆍ동두천ㆍ연천 등에서도 노선 연장을 바라는 주민이 있다.
그러나 수원ㆍ양주 등은 타 지자체의 요구대로 계획 변경시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도민 청원 등을 통해 사업 지연, 철도 운행 효율성 저하 등을 지적했다. 마찬가지로 국토부도 계획 변경을 부담스러워 하며, 관련 지자체ㆍ지역구 국회의원 등에 ‘원안 유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의 입장이 기본계획으로 반영시 남부권 노선 연장ㆍ역 신설 등은 없던 일이 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국토부가 원안 유지 입장을 알려왔지만 아직 기본계획이 확정된 건 아니라 남부권 연장을 요청했으며, 역 신설을 요구하는 일부 시ㆍ군의 입장도 그대로 전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월19일 국회에서 화성ㆍ평택ㆍ오산 국회의원과의 만남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민간사업자 참여시 (GTX C)노선 연장을 검토할 수도 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