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독감 대유행 우려까지, 예방 접종 필수

가족보건의원 경기지회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독감 유행까지 겹치는 것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19와 독감은 증상이 유사해서 자칫 혼동될 수 있다. 코로나19를 독감으로 오인하거나 독감을 코로나19로 오해하면 자칫 치료에 혼선이 올 수 있고 의료기관에 유증상자가 급증하는 혼란이 올 수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와 독감이 함께 대유행하는 ‘트윈데믹(Twindemic)’을 막으려면 예방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한다.

■독감 백신, 9~10월 접종해 6개월간 면역 유지

코로나19는 아직 예방백신이 없지만 독감은 백신접종으로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 특히 고위험군인 65세 이상 고령자, 임신부, 만성질환자 등은 필수적으로 접종하는 것이 좋다.

독감 예방접종을 하기에 적절한 시기는 9~10월 사이다. 독감백신은 통상 접종 2주 후부터 예방 효과를 본보고 6개월간 면역이 유지된다. 생후 6개월~만 18세 어린이, 임신부, 만 62세 이상 고령자는 올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인만큼 보건소나 지정의료기관에서 독감백신을 맞을 수 있다.

안철민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지부 원장(호흡기내과 전문의)은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을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독감백신을 미리 접종하는 것이 좋다”면서 “평소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와 함께 금연, 금주, 균형잡힌 영양소 섭취, 적절한 운동 등 건강 생활 실천을 통한 면역력 강화에 노력하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환이 발견되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약자, 만성질환 등 고위험군은 폐렴구균 동시 접종 효과적

노약자, 만성질환자 등의 고위험군이라면 폐렴과 대상포진을 같이 접종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폐렴구균 발병률은 0~9세 소아 연령대에서 가장 높으며, 이후 50대 이상에서 발병이 증가한다. 계절과 기온에 큰 상관없이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는 독감에도 취약하고, 감염경로 역시 비슷해 독감 합병증으로 폐렴구균이 감염될 가능성도 크다.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 수원 가족보건의원은 코로나19 재확산 추세와 더불어 가을철 독감 예방접종과 폐렴구균의 동시 접종을 강조했다.

김동진 인구보건복지협회 경기도지회 본부장은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독감과 더불어 폐렴, 대상포진, A형간염 등의 예방접종을 함께 접종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되는 추세인 만큼 감염병 및 질병예방을 위해 대민 접촉이 많은 직업군 종사자와 단체생활로 감염성 질환에 노출된 50세 이상 연령대는 사전에 예방접종을 하시길 권장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