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왕숙신도시 85t규모 소각시설 자체사업 추진…남양주 이패동 부지 활용 사실상 거부

LH가 내년말 3기 왕숙신도시에 대한 선분양방침을 확정하고 소각시설 설치를 자체 추진키로 했다. 남양주시의 왕숙2지구 인접지인 이패동 음식물처리시설 활용방안을 사실상 거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조만간 구리ㆍ남양주 에코 커뮤니티사업을 둘러싼 양 지자체 간 실무협의를 앞두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8일 LH와 남양주ㆍ구리시 등에 따르면 왕숙신도시 조성사업을 주관하는 LH는 최근 신도시 조성에 따른 폐기물류 소각시설을 자체적으로 추진키로 하고 왕숙1지구 남서쪽에 마땅한 부지를 찾아 건설하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확인됐다.

소각물량 처리규모는 85t으로 왕숙1ㆍ2지구를 비롯해 진접ㆍ양정지구 등 4개 지구 물량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LH는 이 같은 내용의 지구계획을 수립, 최근에 남양주시에 통보한 뒤 빠르면 이달말이나 다음달초 국토부에 지구계획을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정부차원의 3기 신도시 공공택지지구 공급방침에 맞춰 왕숙신도시도 내년말 선분양을 확정해 놓은 상태에서 더 이상 택지개발 일정을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패동 부지활용을 추진해 온 남양주시는 LH가 100t 미만의 소각시설을 자체적으로 설치하면 별도의 소각시설을 추진해야 하고 향후 운영에 따른 비효율성 등의 문제를 들어 반대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구리시와 남양주시는 지난해부터 대립각을 보여 온 구리ㆍ남양주 에코 커뮤니티사업을 놓고 오는 18일 실무진 간 협의를 벌일 예정이다. 실무 협의로 이견이 좁혀지면 안승남 구리시장과 조광한 남양주시장 간 협상도 기대된다.

LH 관계자는 “지난주 남양주시에 왕숙1지구 내 남서쪽에 85t 규모의 소각물량 처리시설 설치계획을 통보했다”면서 “여기에는 왕숙1~2지구와 진접2지구, 양정지구 등 4개 지구 소각물량을 포함한 것으로 향후 일정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남양주시 관계자는 “LH 입장에선 시가 추진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이 들어서면 개발에 악영향을 주니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반대하고 있는 것”이라며 “나중에 운영ㆍ관리해야 하는 시 입장에선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구리ㆍ남양주시는 지난해말부터 수년 전부터 광역사업으로 추진해 온 폐기물류 처리시설인 에코 커뮤니티사업을 놓고 남양주시가 자체 시설 설치로 선회함에 따라 상호 갈등을 빚어 오는 등 숙제로 남겨져 있는 상태다.

구리ㆍ남양주=김동수ㆍ심재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