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수도권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 조정 "논의 필요"

방역당국은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조정 문제에 대해 정부 내 논의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12일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거리두기의 강도, 또 지속기간에 대해서는 이미 생활방역위원회 등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모았고, 또 추가로 수렴하고 있다”며 “이는 정부 내에서, 중대본(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내에서의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대본은 애초 ‘100명 이하’를 목표로 삼고 수도권에 한해 방역 수위를 3단계에 준하는 2.5단계로 높였지만, 일일 신규 확진자는 여전히 두 자리 수로 떨어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13일까지인 거리두기 2.5단계와 관련해 종료, 재연장과 함께 ‘제3의 방안’까지 열어놓고 내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제3의 방안은 2.5단계 조치를 일부 완화해 계속 유지하면서 음식점과 카페 등에 대한 영업제한 조치를 일부 풀어주는 방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대본은 전날 열린 생활방역위원회 회의 결과와 각 지방자치단체 등의 의견을 토대로 13일 오후 회의에서 방역수위 조정 관련 내용을 최종 확정한 뒤 브리핑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권 부본부장은 수도권 중심의 코로나19 현재 유행 상황이 올해 초 대구·경북지역의 1차 대유행 당시보다 심각하다며 철저한 방역 준수를 당부했다.

권 부본부장은 “지난 2∼3월 대구·경북의 유행과 비교해 이번 수도권 유행은 초기부터 더 심각한 상황임을 말씀드린 바 있고, (이후) 더 어려운 상황으로 진행돼 왔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이 같은 상황 진단 이유에 대해 “인구 자체, 즉 모집단 자체가 수도권이 더 많고 교통량 등을 볼 때 다른 지역으로의 조용한 전파나 감염 확산이 용이하다는 측면이 있다”며 “또 하루 발생하는 환자 규모가 8월 중하순 이후로는 대구·경북 당시의 유행보다 수도권 발생이 좀 더 많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감염경로의 불명 비율에서도 이번 수도권 유행이 더 나쁜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 부본부장은 “지난 8월 하순 한때 400명대로 급증했던 확산세는 일단은 꺾인 것으로 판단한다”며 “어느 정도 감염 규모를 억제하면서 좀 느린 속도지만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