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코로나19 누적환자가 4천명에 육박했다. 하루 확진자 수는 한 달 만에 20명대로 떨어졌지만 이 중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환자가 35%에 달해 언제든 크게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다.
경기도는 16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26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가 3천998명이 됐다고 밝혔다. 도내 일일 신규 확진자가 20명대로 발생한 것은 수도권에서 집단발병이 본격화한 지난달 14일 이후 처음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감염 경로 불명 확진자 비율은 34.6%(9명)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감염경로 불명 사례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방역당국이 이달 3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2주간 전국 신규 확진자 2천55명 가운데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인 사례는 522명으로 25.4%에 달했다. 신규 확진자 4명 중 1명은 감염 경로를 모른다는 의미다.
코로나19가 소모임, 보호시설, 병원 등 장소와 유형을 가리지 않고 곳곳으로 침투하는 것도 문제다. 전선이 넓어지고 복잡해질수록 방역 대응이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날 발생한 감염 경로를 보면 수도권 온라인 산악카페 모임 관련해 1명(경기도 누적 25명), 이천 노인보호센터 관련해서도 1명(누적 18명), 광명 봉사단체 나눔누리터 관련 1명(누적 10명), 서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 관련 1명(누적 10명) 등 중소 규모 감염이 잇따르는 모양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수도권에서 신규 확진자 규모가 생각보다 줄지 않는다는 게 문제”라면서 “감염 전파 경로가 확실하지 않은 사람이 여전히 많다는 점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엄 교수는 “자칫 방역 측면에서 느슨해질 경우 추석 연휴를 전후해 확진자가 늘어날 것”이라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서 요구하는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