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 비대면진료 허용 3개월…인하대병원서 비대면진료 1,2호 탄생

지난 18일 오후 3시 40분께 인하대병원 국제진료센터. 김아름 소장은 긴장한 표정으로 컴퓨터 앞에 앉았다.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에게 비대면 진료를 제공하는 ‘재외국민 원격치료’ 1호 환자가 탄생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김 소장은 컴퓨터 앞에 앉아 중동지역에 체류하고 있는 파견근로자 남성의 증상을 듣고 진료를 시작했다. 20분 뒤인 오후 4시에는 스웨덴에 사는 한 여성이 2호 환자로 김 소장의 진료를 받았다.

20일 인하대병원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허용한 재외국민 원격치료 1,2호 환자가 인하대병원에서 나왔다.

재외국민 원격치료는 재외국민이 애플리케이션에 상담 요청과 증상 등을 입력해 정보를 전송하면 국내병원에 속한 의사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 진료를 하는 시스템이다. 상담부터 일반의약품 안내, 처방전 발급까지 전 과정이 영상으로 이뤄진다.

그동안 해외에 거주하거나 체류하고 있는 우리 국민은 의료서비스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해외 현지의 자국민 우선정책으로 인해 병원 이용에 제한을 받거나, 언어 및 문화장벽과 교통 등 접근성 문제가 주요 원인이다.

여기에 전세계 코로나19 누적확진자가 3천만명을 돌파하면서 재외국민들의 비대면 의료서비스에 대한 갈증은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김영모 인하대병원 원장은 “여러 경로로 해외에서 일하는 근로자와 유학생 등 장기 거주자들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겪는다는 얘기를 들어왔다”며 “의료기관으로서 이들이 조금이라도 더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