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일방적 브랜드 매각 과정으로 인한 뚜레쥬르 가맹점주 피해 조사

최근 CJ가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 매각 추진으로 가맹점주들과 마찰을 빚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가맹점주의 피해 조사에 나선다.

경기도는 최근 ‘뚜레쥬르 가맹점주협의회’ 측과 간담회를 가졌으며 ‘가맹본사와 점주 간 분쟁 실태와 생계형 가맹점주들의 피해에 대한 실태 조사’를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도는 뚜레쥬르가 사모펀드로 매각될 경우 단기 수익향상에 집중해 원가율을 낮추거나 무리하게 점포수를 늘리는 과정에서 불공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에 따라 이 같은 조사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원가절감을 위한 저가 재료 사용, 마케팅 비용 전가, 점포 수 확장에 따른 근접 출점 등으로 본사의 영업이익은 증가하는 반면, 가맹점주는 영업이익 감소와 이미지 손상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도는 이러한 문제를 미리 예방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사모펀드로 매각된 브랜드를 대상으로 ▲가맹점포 증가비율과 근접출점 여부 ▲매각 후 매출액 변화 분석 ▲매각 시 점주 동의 절차 여부 ▲광고·판촉행사 빈도와 비용·부담 전가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

도는 조사 결과에 따라 브랜드 매각 등의 중요사항 결정 시 본부-가맹점주 간 협의절차 제도 마련 등을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실제 불공정 피해가 확인된 곳에 대해서는 공정위 신고 등 후속조치를 이어갈 계획이다.

김지예 경기도 공정경제과장은 “가맹사업 브랜드의 일방적 매각 사례가 계속 나타날수록 가맹점주의 지위는 물론 제품의 질과 가격 등이 모두 불안정해질 것”이라며 “이는 결과적으로 점주뿐 아니라 브랜드를 신뢰하고 소비하는 소비자 피해로까지 연결될 수 있다. 도는 이번 조사를 통해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면밀히 살피고 제도 개선 추진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1일 열린 경기도와 뚜레쥬르 가맹점주협의회의 간담회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의 사모펀드 매각이 10건 이상으로, 대부분 가맹점주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본사의 일방적 결정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그에 따른 다양한 불공정 거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