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식품·메디푸드 등 미래 먹거리로 키운다…그린바이오 육성

정부가 마이크로바이옴, 대체식품·메디푸드, 종자, 동물용 의약품, 생명소재 등 5대 유망산업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2배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아프리카돼지열병이나 반려동물 등 동물 백신 연구개발·상용화도 지원한다.

정부는 21일 열린 제3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36차 경제장관회의에서는 생명자원을 활용하는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 핵심산업으로 인식하고, 그린바이오 산업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12조3천억원으로, 고용규모를 2만명 수준에서 4만3천명으로 각각 확대하기 위한 청사진이 확정됐다.

육성방안은 산업기반을 구축하고 기업의 기술 개발, 자금 마련, 시험·평가, 시제품 출시 등 전 주기를 지원해 선순환할 수 있는 그린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우선 5대 유망분야를 중심으로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기술개발 로드맵 마련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유전체와 기능성분 정보 등 분야별 빅데이터는 기업의 요구 수준에 맞게 구축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등의 활용을 지원한다.

분야별 지원기관을 통해 인프라와 솔루션을 지원하고 관련 기관이 보유한 시설·장비를 연구장비포털에 등록해 활용도와 접근성을 높인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 생태계의 총합을 의미한다. 과거 미지의 영역으로 인식됐지만, 유전체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인체·작물 등과 미생물 군집 간의 상호작용 분석이 가능해져 새로운 영역으로 떠올랐다.

대체식품·메디푸드는 핵심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에 집중한다. 대체식품 핵심기술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안전관리기준을 마련한다. 종자산업은 디지털기반 산업으로 전환한다. 유전자 가위, 디지털 육종 등 신(新) 육종 기술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동물용 의약품은 동물 백신 개발과 줄기세포 활용 지원을 강화한다. 단백질 재조합 기술 등을 활용한 동물백신 R&D와 상용화를 지원하고, 시험·평가, 시제품 생산을 지원한다.

생명소재 산업 육성은 곤충, 해조류, 산림소재 등에 대해 이뤄진다. 곤충 스마트 사육 시스템 구축과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홍합·해조류 등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료소재의 개발·상용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그린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확대하고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함으로써 그린바이오 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어갈 혁신성장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