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자체매립지 독자노선… 비상 걸린 경기도

경기도청 전경(도지사 이재명)

경기도가 수도권매립지 문제로 비상이 걸렸다.

2025년 매립지 포화를 앞두고 공동 대체매립지 조성을 추진해왔지만 인천시가 자체매립지 공모를 통해 사실상 독자 노선을 본격 추진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환경부ㆍ서울시가 미온적인 상황에서 인천시까지 이탈, 경기도의 ‘쓰레기 대란’ 극복은 더욱 험난할 전망이다.

인천시는 ‘폐기물처리시설(매립) 입지후보지’를 공모, 자체 매립지를 조성한다고 21일 밝혔다. 다음 달 5일까지 인천시 전역(군수ㆍ구청장 또는 읍ㆍ면ㆍ동장, 인천의 토지를 소유한 개인ㆍ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후보지를 공개 모집, 5만㎡ 이상 규모(하루 약 160t의 폐기물 반입)로 매립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는 수도권매립지 대체 부지 확보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인천시의 압박 카드로 평가된다. 수도권매립지는 경기ㆍ인천ㆍ서울에서 발생한 생활ㆍ건설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부지(인천 서구 소재)다. 폐기물 수용량이 한계점에 도달하면서 수도권매립지의 운영기한은 2025년으로 예측,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한 대체매립지 조성이 시급하다.

그러나 혐오시설을 반대하는 주민 민원 등으로 부지 확보가 지지부진, 지난해 9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박남춘 인천시장은 ‘공정사회ㆍ자원순환 일류도시를 위한 공동발표문’에 서명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중재를 주문했다. 환경부 주도로 수천억원 규모의 유치 인센티브를 제시하는 등 공동 대체매립지 확보에 속도를 더하자는 입장이었다.

이후 1년이 지난 가운데 진전사항이 없자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종료(경기도와 서울시의 폐기물을 더 받지 않기 위해)’ 방침의 일환으로 자체매립지 계획을 본격 추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움직임이 물밑에서 이어지자 경기도는 서울시와 함께 지난 14일 ‘공동 매립지 조성에 대한 참여’를 당부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처럼 인천시가 대외적으로 자체매립지 계획을 밝히면서 경기도의 공동 대체매립지 추진안도 불투명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관계자는 “오는 23일까지 인천시로부터 공동 대체매립지 조성에 대한 입장을 듣기로 했다”며 “인천시가 끝까지 불참하면 환경부, 서울시와 이를 다시 얘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자체매립지 계획은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한 인천시의 의지 차원”이라며 “다만 공동 대체매립지에 관해서는 수도권 지자체가 다시 모여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장건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