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김성진 정밀의학연구센터장 논문, '네이처' 자매지 게재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재발과 내성’ 국제 공동연구 통해 규명

정밀의학연구센터 김성진 센터장

“새로운 메커니즘 규명으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의 새 지평이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재발과 항암제 내성의 원인인 암 줄기세포의 형성에 관여하는 지질 매개체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원장 주영창)은 김성진 정밀의학 연구센터장이 연구에 참여한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에 관한 논문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온라인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 내 비정상적인 세포가 과도하게 증식해 생기는 악성 혈액암이다. 조혈모세포 이식 또는 표적치료제 ‘이마티닙’ 투여가 주요 치료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항암제 내성의 원인인 암 줄기세포를 사멸시키지 못해 재발률이 높다.

연구팀은 인지질의 일종인 ‘리소인지질’이 분해와 합성으로 다양한 지질 매개체를 형성하고 지질 매개체를 통해 암 줄기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자기 복제를 반복하며 항암제 내성을 길러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지질매개체의 생성에 특정 유전자가 관여하는데 만성골수성백혈병 재발 환자의 암 줄기세포에서 과발현돼 있다는 점을 최초로 규명했다.

김성진 센터장은 “지질 매개체가 암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오랫동안 인식됐지만 최근 지질 분석기법의 발달로 새로운 임상 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며 “항암제 내성이나 암의 재발을 예측할 수도 있으며 지질의 매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신약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