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올해 1~7월 결혼건수가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최소를 기록했다. 7월 출생아 수 역시 같은 달 기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8월에는 경기도의 순유입 인구가 전국에서 가장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적 혼인 건수는 12만6천367건이다.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1∼7월 기준 최소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9.3% 줄었다.
1년 전 대비 혼인 건수 감소율은 코로나19 확산이 한창이던 지난 4월(21.8%)과 5월(21.3%) 20%를 넘어선 뒤 6월(4.2%)에 일시적으로 낮아졌다.
통계청은 주로 혼인하는 연령층인 30대 여성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혼인이 줄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결혼식 연기도 일정 부분 혼인 감소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봤다.
이런 가운데 7월 출생아 수는 2만3천67명으로 1년 전보다 2천155명(-8.5%) 줄었다. 7월 기준으로 1981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소치다. 1∼7월 누적 출생아 수는 16만5천73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8% 감소했다.
반면 7월 사망자 수는 2만3천963명으로 1년 전보다 747명(3.2%) 늘었다. 같은 달 기준 198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다. 1∼7월 누적치로 보면 17만6천363명으로 1년 전보다 3.7% 증가했다. 7월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감소는 896명이다.
이런 가운데 같은 날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국내 인구이동’을 보면 지난달 전입신고를 통해 파악된 국내 이동자 수는 61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9천명(8.7%) 증가했다. 이동자 수는 8월 기준으로 2017년(62만8천명) 이후 가장 많았다.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경기도가 1만7천145명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923명), 세종(810명) 등이 뒤를 이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