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 민간병원 전환·도의료원 신설 등 제안
코로나19 사태로 지자체별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 움직임이 불붙는 가운데 경기도에도 별도 병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지금처럼 국립중앙의료원(서울시)을 공동으로 이용할 경우 수용 인원ㆍ물리적 거리 등에서 방역 한계가 예측되기 때문이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방정부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방안 보고서’를 11일 공개했다.
코로나19로 감염병 대응 의료기관 수요가 높아졌음에도 경기도에는 감염병 전문병원이 전무하다. 수도권에 이미 국립중앙의료원(서울시 중구 소재)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2017년 호남권(조선대병원), 올해 6월 중부권(순천향대 천안병원)과 영남권(양산 부산대병원)에 감염병 전문병원이 지정되는 등 타 시ㆍ도에서는 의료 인프라가 확충되고 있다. 이에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6월23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도권 방역대책회의를 통해 도내 감염병 전문병원 지정을 공식 건의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연구원은 도내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를 위한 2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도내 민관 의료기관을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전환하자고 했다. 별도 병원을 구축하는 신설 방식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 경기도의료원 산하 공공병원 추가 설립도 강조했다. 도의료원 공공병원(수원, 안성, 이천, 파주, 의정부, 포천)과 연계해 공공의료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고, 취약계층을 우선 치료하는 등 공공의료 정책도 펼칠 수 있어서다.
박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규모 감염병 대응을 위해 지방정부의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도내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을 비롯해 전문 역학조사관 육성, 인접 지자체와의 협력적 거버넌스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건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