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경제적·친환경적인 리모델링 신기술 개발

포스코건설이 개발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슬래브 신구(新舊) 접합부를 연결하는 최적화 설계·시공기술’ 중 바닥체 단면에 구멍을 파 철근을 심고 톱니모양의 홈을 만들어 새로운 바닥체 콘크리트 타설 시 접합부의 안정성을 높이는 공법./포스코건설 제공

포스코건설이 국내 최초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리모델링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포스코건설은 최근 ‘공동주택 리모델링 슬래브 신구(新舊) 접합부를 연결하는 최적화 설계·시공기술’을 개발, 대한건축학회로부터 기준적합성 인증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2가지 공법으로 나뉜다. 우선 바닥체 단면에 구멍을 파 철근을 심고 톱니모양의 홈을 만들어 새로운 바닥체 콘크리트 타설 시 접합부의 안정성을 높이는 공법이다. 또 바닥체 위에 포스코 강판으로 제작한 커넥터를 부착한 뒤 새로운 바닥체 콘크리트를 타설해 두 바닥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는 공법이다.

포스코건설은 이들 공법이 종전 바닥체의 콘크리트 파쇄량이 적어 시공이 편리하고 공사기간과 비용절감이 가능하며 폐콘크리트 발생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어 환경 친화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두 바닥체를 붙이려 종전 바닥체의 접합면을 파쇄해 표면을 거칠게 만든 뒤 노출 상태 철근에 새 바닥체용 철근을 연결해 콘크리트를 타설했다. 이는 작업기간이 많고 폐콘크리트 발생양이 많은 단점이 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7월 이번 신기술을 특허 출원했다. 곧 접합구조, 시공절차 등을 담아 한국건설교통신기술협회가 주관하는 건설신기술 인증을 받을 예정이다.

▲ 포스코건설, 공동주택 리모델링 슬래브 신구(新舊) 접합부를 연결하는 최적화 설계·시공기술 2
포스코건설이 개발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슬래브 신구(新舊) 접합부를 연결하는 최적화 설계·시공기술’ 중 바닥체 위에 포스코 강판으로 제작한 커넥터를 부착한 뒤 새로운 바닥체 콘크리트를 타설해 두 바닥체를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는 공법./포스코건설 제공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분야에서 시공성과 안전성을 갖춘 획기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리모델링 사업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지난 6월 지하공사와 지상층 리모델링 공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탑다운 공법을 이용한 골조공사 공법’을 특허출원하는가 하면 건축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보강공사공법 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