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라임·옵티머스 ‘공수처 vs 특검’ 공방

‘라임사태’의 핵심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의 ‘옥중 입장문’이 공개되면서 여야 간 공방이 격화하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김 전 회장이 제기한 ‘검찰의 짜맞추기 수사’ 의혹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대상 1호로 하자고 주장한 반면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픽션보다 더 저질인 논픽션”이라며 특검 도입을 요구했다.

민주당은 라임·옵티머스 사태를 이른바 ‘김봉현 폭로사건’으로 규정하고 공수처 설치의 필요성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18일 페이스북을 통해 김 전 회장의 옥중서신을 ‘공작수사 폭로’라고 표현하며 “공수처 수사대상 1호로 김봉현 폭로사건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면서 “일리 있는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이 야당의 특검 주장을 일축하는 것과 달리 옵티머스 펀드에 1억원을 투자했던 민주당 김경협 의원(부천갑)은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를 겨냥, 특검 수용 조건으로 각자의 의원직을 걸자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1월 증권사 담당 직원의 권유로 8개월 단기 상품에 가입했던 것뿐”이라며 “주 원내대표는 비리 게이트 운운하며 특검을 요구한다. 얼마든지 특검하자”고 말했다. 이어 “권력형 게이트라면 사법적 책임은 물론 의원직부터 내려놓겠다”며 “반대로 단순 투자인 게 확인된다면 주 원내대표도 의원직 사퇴로 책임지겠다고 약속하라”고 요구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김 전 회장의 옥중서신의 의도에 의혹을 제기하며 특검 도입을 거듭 촉구했다. 배준영 대변인(인천 중·강화·옹진)은 이날 논평에서 “대통령의 두 차례 엄한 지시보다 더 정국을 좌지우지하는 게 피의자의 한마디”라며 “미꾸라지 몇 마리가 검찰의 물을 흐려 걱정이라면, 특검이 있다”고 압박했다. 이는 김 전 회장이 ‘검사장 출신 야당 유력 정치인’에게도 금품 로비를 했다고 폭로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배 대변인은 “이 막장 드라마의 제작자와 집필진이 손을 털고 유유히 나가는 동안, 배우들과 엑스트라만 출구를 못 찾고 피눈물 흘리고 있다”며 “특검이 답”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런 가운데 대검찰청은 이날 법무부가 라임 의혹 사건과 관련, 검찰의 수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발표한 데 대해 반발했다. 대검찰청은 “법무부 발표 내용은 전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내용으로서 검찰총장에 대한 중상모략과 다름없으며 전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대검은 윤 총장이 라임 사건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수차례 지시했고, 야권 정치인 로비 의혹 역시 지시에 따라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재민·송우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