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화재 2건 중 1건은 ‘골든타임’을 놓치는 것으로 집계(경기일보 15일자 2면)된 가운데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이 일부 지자체에 도입됐으나 제 기능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수원시와 안산시, 의왕시, 하남시, 광주시, 구리시, 가평군 등 도내 7개 지자체는 ‘긴급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다. 이는 화재ㆍ재난 상황 발생 시 긴급 차량이 교차로에 접근했을 때, 차량 위치를 미리 감지해 정지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제어해 운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지자체별 시스템 운용 방법과 시간이 모두 제각각이라 긴급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안산시는 밤이나 새벽, 주말에는 이 시스템을 가동할 수 없다. 출동 소방관 무전을 받고 신호를 열어주는 권한을 가진 안산시 담당 공무원은 두 명으로, 담당 공무원이 퇴근하는 오후 6시부터는 무용지물이다. 안산시 도시정보센터 관계자는 “밤과 주말은 상대적으로 교통량이 적다고 판단해 업무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만 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수원시는 화재나 구급 현장 출동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시스템이다. 수원시의 시스템은 차량이 스마트폰 앱으로 도착지를 고르면 GPS 차량 추적을 통해 교차로 진입 시 녹색 신호를 주는 방식이다. 그런데 오직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옮길 때만 시스템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축한 탓에 불이 나 신속한 진화가 필요한 순간에도 소방차는 이 시스템을 쓸 수 없다. 이마저도 차량 정체에 대한 부담 탓에 수원시 내 병원 3곳으로 한정했다.
이 밖에 다른 5곳의 지자체는 소방차에 신호 제어 단말기를 부착해 현장 출동 시 교차로 신호를 변경하도록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지만, 시내 5개~6개 수준의 소수 교차로에만 적용되고 있는 한계를 노출했다.
화재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만큼 제대로 된 활용을 위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의 지적이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담당공무원 24시간 근무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 퇴근 후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반쪽짜리 시스템 운영”이라며 “소방대원들에게 전 구역, 전체 시간대에 신호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해령ㆍ김은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