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항만기본계획 수립 수개월째 지연

항동 지구단위계획도 미뤄져

해양수산부의 제4차 항만기본계획 고시가 늦어지면서 인천시의 중구 항동 주변지역 개발 계획도 덩달아 차질을 빚고 있다.

20일 해수부와 시 등에 따르면 해수부는 전국 항만의 개발 방향은 물론 운영을 위한 정책 방향 등을 담은 제4차 항만기본계획을 짜고 있다. 이 계획은 10년마다 짜는 항만 관련 최상위 계획이다. 이번 항만기본계획엔 인천항 주변 친수공간 확보와 신규 196만896㎡ 규모의 배후단지 개발 계획 등이 담긴다.

그러나 이 항만기본계획이 관계기관 협의 등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수개월째 늦어지고 있다. 해수부는 당초 7월 말에 항만기본계획을 마무리하고 고시할 예정이었지만, 현재 연말까지로 늦춘 상태다.

이로 인해 시가 추진하던 항동 기본계획 수립도 차질을 빚고 있다. 신흥동3가·항동7가 일대 등 항동 주변지역은 항만기능 유지와 폐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항만배후지역이 들어 있어 항만기본계획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항동 주변지역 등에 대한 개발 밑그림이 정해지고, 이를 근거로 시가 좀 더 세부적인 지구단위계획을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시는 당초 내년 초까지 마무리하려던 항동 기본계획을 내년 상반기까지 1차례 연기했다.

이처럼 항동 기본계획이 미뤄지면서 일대의 각종 현안 해결도 줄줄이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당장 인천항을 오가는 화물차량 등에 따른 환경·교통문제로 큰 피해를 보는 주민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또 인천항만공사(IPA)의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 활용방안 추진도 미뤄질 수밖에 없다. 앞서 IPA는 2018년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인천시·중구 등과 꾸린 합동 태스크포스(TF)를 통해 터미널 부지를 매각하고 해안특화상가를 포함한 주상복합을 짓겠다는 계획을 짰다. 하지만 항동 기본계획과 연계하려 잠정 중단해둔 상태다.

시 관계자는 “항만기본계획 고시가 이뤄지면 곧바로 항동 주변지역 개발 계획에 반영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며 “늦어도 내년 상반기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항동 일대 현안이 많은 만큼, 차질을 빚지 않도록 사전에 기초자료 확보 등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