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분도론이 제기된 가운데 인천시에서는 부천·시흥·김포시를 통합해 500만명의 인구를 가진 제1광역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이학재 인천시당 위원장은 20일 시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어 “현재 경기도의 남·북 분도 논의가 뜨겁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인천과 인접한 부천·시흥·김포를 통합하는 행정개편에 대해서도 논의할 적기”라고 밝혔다. 이어 “과거에도 통합 논의가 있었지만, 진척은 없었다”면서 “경기도 분도가 추진되는 이번에 통합을 실현하지 못하면 인천의 도시통합은 영영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인천시와 김포시의 통합 필요성에 역점을 두고 “김포는 경기도와 한 뼘도 연접하지 않고 대부분 인천과 접해 있다”며 “인천과 통합한 김포는 앞으로 통일시대의 축으로 도시 구성의 큰 이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인천의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단체가 시민의 뜻을 하나로 모아 통합 추진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면서 “이재명 지사와 경기도도 한정된 분도 논의에 함몰하지 말고 국가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수도권의 합리적 개편을 검토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이 시당위원장의 인천·부천·시흥·김포 통합안은 앞서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인천 계양을)이 지난 2014년 인천시장으로 재임하면서 주장한 통합안과 결이 같다. 당시 송 의원은 시장 재선을 위한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인천·부천·시흥·김포를 통합하고 검단과 김포를 하나로 묶어 종합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지방선거용으로만 비쳐 구체적인 공론화 과정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또 지난 2010년에는 인천 서구·계양구·강화군과 김포시를 통합해 새로운 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논의도 있었지만, 인천을 양분하려 한다는 비난만 받았다.
이 때문에 인천 정가에서는 이번 이 시당위원장의 인천·부천·시흥·김포 통합안을 두고 회의적인 의견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경기도 분도에 대해 반대 입장인 것도 인천·부천·시흥·김포 통합의 실현 가능성을 떨어트리는 요소다. 이 지사는 지난 19일과 20일 잇따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경기도 국감에서 현 상황에서 경기도 분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지사는 분도 법안(경기북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한 행안위 소속 민주당 김민철 의원(의정부을)의 질의에 ““지금 분도를 하게 되면 (북부) 주민들의 삶은 나빠진다”면서 “분도 논의는 (북부) 주민들 입장에서, 주민들 삶이 개선되는 입장에서 논의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