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코로나 자가격리자' 하루 1~2명꼴 무단 이탈

“지하철로 도심 활보 등 위험”

경기도청 전경(도지사 이재명)

#1. 70대 남성 A씨는 이달 해외에서 입국, 코로나19 자가격리자로 분류됐다. 격리 초기부터 강하게 반발하던 A씨는 지인을 만나겠다며 주소지(부천시)를 벗어나 지하철을 통해 다섯 차례 서울시 강남ㆍ관악구 일대를 활보했다. A씨는 결국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고, 방역 당국을 ‘비상’으로 몰아넣어 고발 조치될 예정이다.

#2. 고양시의 한 보건소는 50대 중국인 여성 B씨가 국내로 오면서 자가격리수칙 안내를 위해 전화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이에 방역 당국은 현장으로 즉각 출동, 10여분 대기하다가 운동을 마치고 귀가한 B씨를 발견했다. B씨는 지난 20일 고발됐다.

#3. 2주간의 자가격리 마지막 날 50대 남성 C씨는 아내로부터 급한 전화를 받았다. 자택 근처인 부천터미널에 도착했는데 길을 헤매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C씨는 전담 공무원에게 사정을 설명하려 했으나 전화가 연결되지 않았고, 아내 걱정에 집을 나와버렸다. 방역 당국은 C씨의 사정을 고려해 계도 처분을 내렸다.

무분별한 코로나19 전파를 막기 위해 자가격리자들의 방역 수칙 준수가 절실한 가운데 경기도내에서는 하루 1.68명꼴로 무단이탈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3월27일(자가격리자 무관용 원칙 수립) 이후 현재까지 215일간 자가격리자 무단이탈 사례가 총 363건 접수됐다”고 28일 밝혔다.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확진자 접촉자, 해외 입국자 등을 집에서 격리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특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3월27일부터 ‘국외 입국 자가격리자 관리 강화 방안(이탈 시 경찰 출동 및 고발 조치)’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도내 시ㆍ군에서는 1만3천여명의 공직자가 투입, 전담 공무원 배치ㆍGIS(위치 추적)앱 등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27일에도 1건의 무단이탈 사례가 확인되는 등 매일 1~2명이 자가격리 지침을 어기고 있다. 시ㆍ군별로는 부천시(48건), 용인시(43건), 안산시(42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파주ㆍ광주ㆍ과천시를 제외하고 28개 시ㆍ군에서 1건 이상의 무단이탈 사례가 집계됐다. 재이탈 사례도 4건이나 접수됐다. 이 중에는 1명(하남시)이 무단이탈을 6번이나 벌이기도 했다.

시ㆍ군들은 무단이탈이 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고발(고의성ㆍ중대성 입증 시) 등 강경책을 이어가고 있다. 무단이탈 사례 363건 중 127건(35%)을 고발했다. 계도는 149건, 고발 예정 등 기타는 87건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치매ㆍ정신병 환자 등 고의성이 없는 무단이탈자도 있지만 매일 1~2명이 꾸준히 발생하는 것 자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시ㆍ군과 협조 속에서 방역망 구멍을 메우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