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부터 4세대 무선통신기술(LTE)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통신망이 전국에서 사용 가능해진다.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을 정식 운영하는 것은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최초다.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되면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경찰청과 소방청, 자치단체 등 대응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남부권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수도권 구축을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3일 추진 경과를 발표했다. 2018년부터 본격 추진된 재난안전통신망은 올해 9월 2단계 사업 구축을 완료하고 마지막 3단계 사업(수도권 구축)을 진행 중이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총 1조 5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중부권, 남부권, 수도권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이미, 1단계 사업 구역인 대전과 세종, 강원, 충청지역에서 경찰이 시범운영 중이고, 2단계 사업으로 남부권까지 통신망이 확대됐으며 내년 3월 수도권까지 구축을 완료하면, 전국망을 완성해 본격적인 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특히, 2단계 사업을 통해 3곳의 운영센터를 구축하여 하나의 센터가 멈추거나 운영이 중단되더라도 차질 없는 통신망 운영이 가능해진다.
한편, 재난안전통신망의 활용ㆍ확산 및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개발ㆍ시험환경(Test-Bed)을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협력하여 구축하고, 사용기관 및 민간업체에 개방한다.
행안부는 개발ㆍ시험환경 구축을 계기로 사용기관과 민간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기획·개발, 상용화로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