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 방법은 간단했고, 모든 절차는 허술했다.”
전동킥보드가 개인형 이동수단(퍼스널모빌리티ㆍPM)을 활용한 공유서비스 시장의 구심점 역할을 하며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하지만 위험을 동반한 채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나타나는 탓에 고라니에 빗댄 ‘킥라니’라는 불편한 시선의 신조어를 낳으며 도심 속 흉물로 전락하고 있다. 근거리 이동수단과 놀이 도구로서 인기몰이하면서도 끊임없이 발생하는 사건·사고로 화제의 중심이 된 전동킥보드를 직접 체험해 봤다.
5일 오전 10시께 수원시 영통구 하동의 한 주택가에서 A 업체의 전동킥보드가 한눈에 보이며 접근에 어려움이 없었다. 운행을 위한 첫 관문 역시 너무도 간단했다. 휴대전화에 앱을 설치한 후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를 등록하니 앱이 활성화되면서 운전면허증 등록 절차는 본의 아니게 생략됐다. 사실상 면허가 없는 청소년도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인 셈이다. 이어 휴대전화 앱에선 헬멧 등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안내문구가 나왔지만 주변 그 어디에도 관련 장비를 찾을 수 있는 곳은 없었다. 킥보드 상단의 QR 코드를 인식하니 곧바로 시동이 걸렸고, 핸들 오른쪽은 가속레버, 왼쪽은 브레이크 등으로 구성돼 조작방법 역시 아주 간단했다.
주행에 나서자 5초도 되지 않아 최고 속도인 20㎞/h까지 도달, 마치 빠른 속도의 놀이기구를 타는 것 같은 짜릿한 재미가 더해졌다. 반면 주행 중 아주 작은 포트홀에도 크게 휘청대고 사이드미러 부재로 수시로 고개를 돌려 후방을 확인해야 하는 등 상시 위험이 도사렸다. 또한 자동차로 분류돼 도로주행을 해야 하지만 빠른 속도의 차량들로 인도 위 주행이 불가피한 상황이 계속됐다. 보행자들에게 위협의 대상인 ‘킥라니’로 전락한 순간이다.
이날 이의중학교 삼거리에서부터 컨벤션센터 사거리까지 3개의 정거장 2㎞ 구간을 왕복하면서 걸린 시간은 20분. 요금은 3천150원이 나와 택시 기본요금(경기도 기준 3천800원)보다 저렴했고, 주차 역시 원하는 곳 어디든 가능했다. 그러나 공유시장 특성인 연쇄사용 구조 속에서 주기적 소독 여부도 확인되지 않는 등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안감도 떨쳐내기 어려운 모습이었다.
최근 인천과 성남에서 전동킥보드를 타던 고교생과 50대 남성이 사고로 잇따라 숨지고, 도로ㆍ인도 곳곳에선 무단으로 방치돼 운전ㆍ보행자를 위협하는 등 PM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PM의 이용을 활성화하고 안전한 관리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PM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제도화하고 안전 준수사항 등 내용을 담은 법률의 제정을 추진, 연내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연말부터 만 13세 이상이면 면허 없이도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초ㆍ중ㆍ고 대상으로 이용 교육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앙부처, 지자체, 관련업계가 참여하는 민관 협력 거버넌스도 구성해 이용 안전수칙 등을 배포하고, 캠페인 등 홍보도 추진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PM 공유 업체는 11월 기준 전국 17곳에 달하고 있으며, 지난해 약 13만4천대에서 2029년 49만4천대로 10년간 3배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서도 전국 기준 사고발생 건수가 2017년 117건, 2018년 225건, 2019년 44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은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