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대란’ 가시화… 일회성 아니면 어쩌나 ‘학부모 전전긍긍’

초등돌봄전담사들이 6일 ‘돌봄 파업’에 나서 맞벌이ㆍ한부모ㆍ저소득가정의 애를 태우고 있다.

교육당국도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추가 파업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당분간 혼란스러운 학교 현장은 계속될 전망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ㆍ전국교육공무직본부ㆍ전국여성노조 등이 연대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5일 서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대회의실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돌봄교실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돌봄전담사의 처우를 개선하라며 파업에 돌입한다고 예고했다.

파업 당일에는 전국 17개 시ㆍ도 돌봄전담사 1만2천여명 중 6천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경기도내 돌봄전담사는 총 2천983명으로 이번 파업에 1천200여명(620개교)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기준 돌봄을 신청한 학생 수는 6만9천235명이다.

사실상 기존 운영되던 돌봄교실(도내 2천981개)의 절반가량이 미운영할 것으로 점쳐지면서 학부모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용인의 한 초등학교 교사이자 초등학교 1학년생의 부모인 A씨(38ㆍ여)는 “다른 아이들을 보살피러 출근하면서도 정작 내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 지 정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어른들 싸움에 아이들이 볼모로 잡힌 것 같아 안타깝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맘카페 등에선 아이들을 도서관에 보내거나 본인 직장에 데려가야 한다는 등 글이 올라오고, SNS에도 돌봄 문제 관련 오픈대화방이 개설되는 등 온라인을 중심으로 연관 고민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일부는 맞벌이가정과 한부모가정, 저소득가정이라 자녀를 맡길 곳이 없다는 사연을 털어놓기도 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4일 각 시ㆍ도교육청에 ‘교육부-시도교육청 공동 대응방안’이라는 공문을 보내 대책을 발표했다. 공문에는 ▲교장과 교감 등 학교관리자가 자발적으로 돌봄을 운영하는 방안 ▲담임교사 등이 상주하면서 교실과 도서실 등을 개방해 학생을 지원하는 방안 ▲파업 미참여 돌봄전담사를 활용하는 방안 ▲학교 인근 마을돌봄기관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그러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을 비롯한 교원단체가 돌봄 파업 당일 교원을 대체 투입하는 것은 노동조합법상의 대체근로금지에 저촉된다며 근무를 거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육당국이 파업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 역시 현행법에 저촉될 수 있어 아직 정확한 파업 인원 등도 확인하지 못한 상황이다. 파업 여파로 인한 학생ㆍ학부모의 불편은 당일이 돼서야 알 수 있는 셈이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관계자는 “1차 파업 이후 2주 이상 교육당국과 충분한 협의가 이뤄지길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더 큰 규모의 2차 파업이 단행될 것”이라며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방향성이 제시되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