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따른 자체매립지인 ‘인천에코랜드’가 들어서는 주변지역에 대해 파격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9일 시에 따르면 인천에코랜드는 수도권매립지의 직매립 방식이 아닌 친환경 방식으로 추진하고 지하매립, 상부 밀폐형(에어돔 또는 건축물) 구조로 주변 지역과 완벽히 차단하는 매립시설로 조성한다.
하지만 많은 시민이 매립시설 자체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는 만큼, 시는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해 과감한 지원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우선 인천에코랜드가 들어서는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군·구에 대해 폐기물반입에 따른 가산징수금제(수도권매립지의 경우 반입수수료의 50%)를 할 방침이다. 시는 가산징수금을 해당 군·구의 특별회계로 운영하도록 하고, 군·구에 사용 재량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시는 해마다 58억원 규모로 예상하는 지역발전기금을 주민에게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완충지 역할을 할 주변 곳곳에 1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근린공원 및 체육시설 등 주민 휴식공간을 만들 예정이다. 또 체계적인 지역발전을 위한 기본계획도 마련한다.
특히 주민이 원하면 인천에코랜드 및 부대시설에 대한 관리·운영을 주민들이 직접 함으로써 일자리 창출도 이뤄내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매립시설 운영에 대한 환경문제도 주민이 직접 감시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지역주민 숙원사업은 사업비 지원과 더불어 우선 해결과제로 지정해 특별 관리하고, 주민지원협의체 활동비를 포함한 발전기금도 지원한다.
시는 앞으로 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반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오흥석 교통환경조정관은 “인천에코랜드는 인천시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을 위한 기초”라며 “파격적인 지원을 통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고 주민이 유치를 적극 원하는 시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