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농촌지역의 보육시설이 충분하지 않아 영유아 수 감소를 부채질하고 있어, 보육여건 개선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여주·양평)은 10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어린이집 미설치 읍·면이 지난 2015년 433개에서 지난해 476개로 불과 4년만에 약 10% 늘어 농촌지역의 돌봄공백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농촌지역의 전체 어린이집 수도 2015년 8천216개소에서 2016년에 8천48개소, 2017년 7천964개소, 2018년 7천769개소, 지난해 7천458개소로 점점 줄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농촌지역의 보육시설 부족은 돌봄서비스가 절실한 부모의 양육부담을 가중시켜 젊은 부모들이 농촌을 떠나게 하거나, 심지어는 출산률 저하로 이어져 ‘영유아 급감과 보육시설의 감소’라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촌의 영유아 수가 지난 2015년에 45만 1천명에서 2017년 44만 2천명, 2019년 38만 8천명으로 4년만에 약 14% 급감했다.
김 의원은 “운영여건이 어려운 소규모 어린이집에는 과감한 지원을 통해 폐원을 방지하고, 보육시설이 없는 지역에 국공립 어린이집 신설이나 농촌 특화 서비스인 농번기 아이돌봄방, 농촌 공동아이돌봄센터의 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