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지 처리 원칙 훼손"
인천시의 부평·계양권역 폐기물을 경기도 부천시 대장소각장에서 처리하는 방안에 대해 인천시의회에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인천 자체매립지 조성의 최대 명분인 발생지처리원칙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게 이유다.
10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박남춘 시장과 오흥석 교통환경조정관 등은 이날 오전 신은호 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의장단과 만나 인천의 자원순환정책에 대한 비공개 회의를 했다. 이 회의에서 시는 부평·계양 권역 폐기물을 새로 만든 부천 대장소각장에서 소각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시의회 의장단은 부평·계양권역 폐기물의 부천행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내놨다. 인천에서 나온 폐기물을 타 시도인 경기도 부천에서 처리한다는 것은 발생지처리원칙과 어긋난다는 것이다. 앞서 시는 이 원칙을 내세워 서울시·경기도의 쓰레기를 인천에서 처리하지 않아야 하며, 인천만의 자체매립지를 만들겠다고 나선 상태다.
강원모 부의장(더불어민주당·남동4)은 “인천은 각자의 쓰레기를 각자가 치우는게 맞다고 했는데 우리 (인천의)쓰레기를 부천으로 보내는 것은 시의 자체 논리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며 “인천의 자원순환정책이 성공하려면 명분이 중요한데 이 부분에서 어긋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와 함께 부천시의회도 인천 부평·계양권역 및 서울 강서구의 폐기물을 대장소각장에서 처리하는 것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시와 부천시, 강서구 3자간 협약은 무기한 연기 한 상태다. 부천시는 11일 당정협의회 등을 통해 인천시와 강서구의 폐기물 반입 여부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시가 추진하는 소각장 계획의 윤곽도 나오고 있다. 시는 연수구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남부권역 소각장은 종전 송도 광역소각장과 고형폐기물(SRF) 시설을 유지하고, 중구·미추홀구를 담당하는 서부권역 소각장은 중구 신흥동 인천환경공단 남항사업소에 조성 할 계획이다. 또 동구·서구를 맡을 북부권역 소각장은 청라소각장 현대화가 유력하지만 서구의 자체 용역결과에 따라 바뀔 가능성이 있다. 남동구의 폐기물을 처리할 중부권역 소각장은 남동국가산업단지, 그리고 섬 소각장은 강화도 초입에 만드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