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인천대학교의 총장 재선거가 첫 선거 당시의 독소 조항이 그대로 남아있고, 후보 출마자도 재탕에 그치며 파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인천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인천대 이사회는 최근 ‘총장추천위원회 규정 전부 개정 규정안’을 통과시키고, 총추위 구성을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이번 재선거를 위한 총추위 규정 개정이 ‘빛좋은 개살구’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선거 당시 논란을 불러온 총추위 추천 순위에 대한 부분이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사회는 이번 개정안에서 교직원, 교수, 학생 등 내부 구성원이 참여하는 정책평가 비율을 종전 75%에서 100%로 늘리는 내용을 담은 안을 통과시켰다.
구성원의 정책 평가 비율을 100%(전면적으로) 반영하는 직선제 모양을 갖췄지만, 추천 후보자 3명의 정책평가 순위를 밝히지 않는다는 독소조항은 그대로 남아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구성원이 최종 후보자를 뽑는 것처럼 보이게 한 후 최종 결정은 결국 이사회가 하겠다는 속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정책평가에 참여한 구성원조차 자신들이 뽑은 후보가 어느정도의 지지를 얻었는지 확인할 수 없는 사실상 깜깜이 선거가 치러질 수 밖에 없다.
인천대 관계자는 “지난 선거에서 3위 후보를 최종 추천해 고배를 마신 이사회가 또다시 같은 행동을 반복하겠다는 건 다시금 선거 파행을 불러오는 행태”라고 했다. 이어 “조금이라도 파행에 대해 반성한다면 결격 사유가 없는한 구성원의 뜻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그래야 교육부나 청와대가 또 반려하면 오히려 구성원과 함께 항의할 수 있는 당위성을 갖게 된다”고 했다.
재선거 총장 후보 출마자도 지난 선거의 재탕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현재 인천대 안팎에선 지난 선거에 출마했던 박인호 인천대 명예교수와 최계운 인천대 명예교수, 이호철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이번에도 출마를 준비하며 물밑작업에 한창이다. 지난 선거 당시 출마가 점쳐지다가 최종적으로 후보 등록을 하지 않은 박종태 전자공학과 교수까지 후보군은 크게 4명이다.
지난 선거 당시 정책이나 대학 발전에 대한 비전 대신 상대 후보의 비방을 일삼았던 이들이 또다시 출마해 인천대 선거를 혼탁하게 하지 않도록 정책 선거에 대한 출마자들의 다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또다른 인천대 관계자는 “이번 선거에서 만큼은 서로가 정책적인 부분을 홍보하고, 서로 깨끗한 경쟁을 하는 것이 국립대학이자 교육자로서의 당연한 의무라고 본다”고 했다.
한편, 인천대 평의원회는 오는 12일 제11차 본회의를 열고 평의원회 추천 몫인 총추위원 내부인사 7명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인천대 총장추천위원회 규정상 총추위원은 이사회가 추천하는 외부인사 2명과 내부인사 1명, 평의원회가 추천하는 외부인사 3명과 내부인사 9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한다.
앞서 이사회는 외부인사에 인천테크노파크(TP)원장과 이진 목사, 내부인사에 총학생회장을 추천해 총추위원 추천을 마친 상태다.
지난 총추위 당시 구성원이던 평의원회 몫 2명의 위원은 사퇴하지 않아 지위가 유지된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