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옵티머스펀드 회수, 최대 15% 예상”…5천억원 중 780억원

실사 결과, 5천146억원 설정액 중 3천515억원 투자

옵티머스펀드 전체설정액 5천억원 중 최대 780억원이 회수될 것이라는 실사결과가 나왔다.

11일 금융감독원은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에 대한 실사 결과를 발표하고 펀드의 잔액 5천146억원 기준 예상 회수율은 최소 7.8%(401억원)에서 최대 15.2%(783억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실사를 담당한 삼일회계법인은 지난 7월부터 약 4개월간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 투자자금의 최종 투자처에 대해 실사를 했다. 실사결과 총 46개 펀드 설정금액 5천146억원 중 실사 대상이 되는 최종 투자처는 63개, 3천515억원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금액은 횡령, 돌려막기 등으로 실사할 수 없었다.

자금흐름을 보면, 펀드자금(원본 5천146억원+이자수취액 81억원)은 1·2차 도관체를 거치는 과정에서 외부자금(517억원)과 혼재(합계 5천745억원) 돼 최종 투자처 3천515억원에 투자되거나 기존 펀드 돌려막기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환매 펀드 자금 등이 도관체 등을 거쳐 최종 투자처에 투자된 자금은 1천376억원이다. 미환매 펀드 자금 중 3천15억원은 기존 환매된 펀드의 상환재원 즉 돌려막기에 사용됐다. 이 중 2천139억원은 기존 환매된 펀드에서 도관체 등을 거쳐 최종 투자처에 투자됐고 876억원은 기존 환매된 펀드에서의 자금 사용 불분명한 금액으로 분류됐다.

투자액이 확인된 3천515억원은 부동산 PF 사업 1천277억원, 주식 1천370억원, 채권 724억원, 기타 145억원으로 구성됐다. 부동산 PF 사업 중 진행중인 사업에 590억원, 중고차매매단지 159억원 등 미진행 사업에 687억원 투자했다.

S사 등 상장기업 지분 투자액 1천226억원, D사 등 비상장기업 지분에 144억원 투자했다. 기존 투자한 상장기업은 현재 대부분 상장폐지됐거나 거래 정지중인 종목이다. 채권의 경우, H산업(234억원) 등 관계 기업 등 대여 500억원, 기타 일반기업에 대한 대여 등 224억원으로 사용됐다.

63개 투자대상은 회수가능성에 따라 등급을 A, B, C로 구분된다. A등급(투자액 45억원)은 35억~51억원, B등급(투자액 543억원)은 226억원~337억원, C등급(투자액 2천927억원)은 0억원~255억원으로 추정됐다. 예상회수율 추정치는 전체 펀드 규모대비 최소 7.8%에서 최대 15.2% 수준(최소 401억원 ~ 최대 783억원)이었다.

금감원은 기준가격 조정 논의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펀드투자자를 최대한 보호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손해액 확정에 상당 기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면서 앞으로 검사·수사 결과를 고려해 분쟁조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