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면서 그린 뉴딜은 목표가 구체화돼 더욱 폭이 넓어지고, 속도를 더하게 됐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제3차 한국판뉴딜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한국판뉴딜은 첫 구상을 밝힌 이후 진화를 거듭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을 위한 디지털 뉴딜에 이어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는 그린 뉴딜을 본격화했다”며 “사람 중심의 포용사회를 위한 고용·사회안전망은 한국판 뉴딜의 토대가 됐고, 지역균형 뉴딜이 기본 정신으로 새롭게 자리잡으면서 한국판 뉴딜은 완성도 높은 국가발전전략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경제와 비대면 산업 육성 등 혁신성장을 가속화하고, 일자리 위기를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극복하겠다는 비상한 각오였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지금 세계적으로나 국가적으로 실로 중대한 역사적 전환점에 서 있다”며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은 시대적 대세가 됐고 코로나 대유행으로 세상이 격변하며 변화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고 진단했다.
이어 “디지털 혁명과 그린 혁명은 문명사적 대전환으로 이념과 정파는 물론 국경을 초월한 시대적 과제가 됐다”며 “디지털과 저탄소 사회·경제로 빠르게 전환하는 것만이 생존의 길이고 발전하는 길이며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적 흐름과 같이 가면서 대한민국의 대전환을 이끄는 전략이 한국판 뉴딜”이라며 “한국판 뉴딜은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주도해 위기의 시대를 기회의 시대로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역량을 살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으로 선도하겠다”며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저탄소 경제 전환에 속도를 높여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세계와 연대하고 협력하면서 산업혁신과 그린 경제로 우리 경제의 활로를 개척하고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만들어 내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사람 중심의 가치와 혁신적 기술을 접목해 국민의 삶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겠다”며 “안전망 구축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포용적인 전환으로 어느 누구도, 어느 지역도 소외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