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가 인천시에 도급역·구내 입환·월미바다열차 운영을 전담하는 자회사 설립을 요청했다. 시는 자회사 설립을 포함해 다른 운영 방안을 비교, 최적안을 찾는 용역에 나선 상태다.
18일 시와 교통공사에 따르면 교통공사는 최근 도급역·구내 입환·월미바다열차 운영 등 3개 사무에 대해 자회사 설립을 요청했다. 이들 사무에는 각각 133명, 39명, 9명의 인력이 투입 중이다.
이중 교통공사가 중점을 가지고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는 것은 도급역 운영을 담당하는 133명이다. 교통공사는 현재 56개 역사 중 13개 역을 민간에 위탁 운영 중이다. 하지만 도급역사 직원은 교통공사가 직영하는 역사의 직원에 비해 차별 대우를 받고 있어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다만 월미 바다열차와 구내 입환 사무를 자회사 설립하는 것은 안전 문제 등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 교통공사는 월미 바다열차에 대해서는 민간위탁을 원하고 있지만 시 차원에서 안전 문제를 우려해 교통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구내 입환 사무는 전국에서 자회사를 설립한 사례가 없다. 구내 입환은 본선에 있는 전동차를 차량기지에 옮기는 작업으로 전동차와 입환기관차를 연결하는 작업 등을 해야해 안전사고 우려가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부산교통공사는 민간 위탁해오던 구내 입환 사무를 지난 8월 직접 고용하기로 했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도급역에 대해서는 자회사 설립 방안을 분명히 요청했지만 나머지 2개 사무는 구두로 이야기가 오갔던 것이 전부”라며 “월미바다열차 자회사 설립은 시에서 부정적 여론이 크고 구내 입환은 안전사고 등을 우려해 현재로서는 추진 가능성이 작다”고 했다.
이들 사무에 대한 자회사 설립은 시의 연구 용역 결과에 달린 상태다. 특히 시는 앞으로 확대하는 서울7호선 인천 노선(온수~석남), 청라연장 6개 역사, 검단연장 5개 역사 운영에 대해서도 자회사 설립 등을 포함한 최적의 운영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용역사에 최적의 방안을 찾아달라고 요구한 상태”라며 “직접 고용을 해 운영하는 방안, 자회사 설립 방안 등을 모두 놓고 검토하고 있으며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