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연일 300명대를 기록하면서 3차 대유행 우려 속에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교육당국이 막바지 방역에 고삐 죄고 있다.
정부는 수능 당일까지 2주간을 ‘수능 특별 방역 기간’으로 지정해 학원, 스터디카페, PC방, 노래방 등 수험생이 자주 드나드는 시설의 방역을 강화한다. 수험생이 다니는 학원에서 코로나19 전파가 일어날 경우 해당 학원 정보도 공개한다.
19일 교육부에 따르면 수능 특별 방역 기간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은 학원·교습소, 지자체는 스터디카페를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방역을 점검한다.
이 기간 고3과 졸업생 등 수험생이 다니는 학원과 교습소 내 접촉으로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학원 명칭, 감염 경로, 사유 등이 교육부 홈페이지에 한시적으로 공개된다.
수능 1주 전인 26일부터는 방역 조처를 더욱 강화해 학원·교습소에 대면 교습 자제를 당부하고 수험생에게도 이용 자제를 권고한다.
정부는 PC방이나 노래연습장, 영화관 등 수험생이 자주 드나드는 시설의 방역 관리에도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수능 특별 방역 기간 교육부, 질병관리청,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공동 상황반’을 운영하고, 교육청과 지역 보건소는 ‘현장 관리반’을 구성해 코로나19 실시간 대응 체계를 강화한다.
교육부는 수능 당일 확진 수험생을 위해 수능용 병상을 120개를 확보했다. 또 자가격리자 수험생을 위해서도 113개소에 754개 시험실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코로나 확산에 수험생과 학부모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교육부는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더라도 수능은 예정대로 치른다는 입장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19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더라도 12월3일 수능시험 연기는 없다”고 밝혔다.
앞서 유 장관은 전날 시·도 교육청 합동 수능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최근 코로나19 확산 추세를 고려할 때 자가격리 수험생이 증가할 수 있어 매일매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향후 2주 동안 집중적인 수능 관리와 비상 대응이 중요한 만큼,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함께 코로나19 확진·격리 수험생 추이를 살피고 폭설·지진 등 불확실한 부분도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여파로 이날 오전 10시 기준 전국 11개 시·도 130개 학교에서 등교 수업이 이뤄지지 못했다. 등교 수업 중단 학교는 전날(87곳)보다 43곳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30곳, 경기 27곳, 인천 4곳 등 수도권에서만 61개 학교가 학생들을 등교시키지 못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