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역 공원 청소를 담당하는 용역업체들이 용역 과업지시서 내용과 다르게 업체 소속이 아닌 인원을 공원 청소에 투입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원시의회 복지위원회 소속 박명규 의원(더불어민주당, 정자1ㆍ2ㆍ3동)은 지난 19일~20일 수원시 영통ㆍ팔달ㆍ장안ㆍ권선구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관내 공원 청소용역 실태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박명규 의원은 “구청마다 장애인ㆍ보훈단체와 수의계약을 맺고 공원 청결관리를 하고 있지만, ‘단체에 소속된 실 회원들이 근무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한다’는 과업지시서 내용과 달리 단체 비소속 인원이 근무자로 투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계약 취지가 그 단체 당사자가 일해서 소득을 취하도록 하는 게 목적인데 그렇지 못한 게 굉장히 많다”며 “이러한 부분이 악용돼서 실제 소득을 얻어야 하는 분들이 얻지 못하고, 몇몇 단체만 도움되는 것은 지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팔달구청과 수의계약을 맺은 A 단체는 회원 32명 가운데 7명이 비회원으로 파악됐으며, 영통구 B 단체도 팔달구와 마찬가지로 일부가 비회원으로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이같이 단체 소속이 아닌 인원이 근로자로 투입되는 문제의 원인으로 각 구청이 단체 명단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구멍 행정’을 꼽았다.
박 의원은 “장애인ㆍ보훈단체가 이 사업에 참여하는 것에는 얼마든지 협조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단체 소속원들이 이 일에 투입되는지는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수원시 4개 구청 녹지공원과의 어린이ㆍ근린공원 청결 관련 예산은 올해 총 101억8천만원으로, 구청 녹지공원과 전체 사업비 349억1천만원의 28.9%를 차지하고 있다.
수원시내 공원은 올해 1월 기준으로 영통 91개, 팔달 42개, 장안 63개, 권선 136개 등 총 332개다.
정민훈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