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인력난 해소 위해 국비 102억원 건의

경기도청 전경(도지사 이재명)

경기도가 인력난을 겪는 경기도내 중소기업을 위한 신규사업을 추진하고자 정부에 국비 102억원을 요청했다. 이는 기업들이 코로나19로 외국인 노동자 유입이 끊기면서 피해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최근 ‘외국인 노동자 빈 일자리 채움사업’ 추진 관련 국비 102억원 지원을 건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외국인 노동자 빈 일자리 채움사업’은 도민이 외국인 고용 허용업종 기업(제조업, 건설업, 농축산업 등)에 취업 시 매월 30만원씩 1년간 고용지원금을 지원(최대 360만원)하는 내용이다.

도에 체류 중인 외국인노동자 수는 17만9천847명(올 9월 기준)으로 지난해 20만6천433명 대비 13% 감소했다. 코로나19 여파로 4월 이후로 E-9(비전문취업), H-2(방문취업) 비자를 취득한 외국인의 입국이 없다가 지난 19일부터 재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60여명 수준이라 도내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

앞서 지난 7월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북부지역본부는 외국인노동자 신청업체 전국 1천478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외국인력 입국 재개 관련 업계 의견조사’ 결과, 응답 기업(632곳)의 87%가 ‘코로나19로 생산 차질, 우려한다’고 응답했다. ‘이미 생산차질이 발생하고 있다’(60.9%), ‘1~2개월 내 생산차질 발생우려’(17.2%), ‘3~4개월 내에 생산차질 발생 우려’(8.9%) 등으로 기업 87%가 생산인력 공백과 매출감소 등의 경영난을 호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도내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자 도는 내년도 ‘외국인노동자 빈 일자리 채움사업’ 추진에 따른 예산 128억원(사업비 108억원, 운영비 20억원) 가운데 국비 102억원 지원을 행정안전부와 고용노동부에 요청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내국인 취업기피업종에 대한 강력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면서 “인력난을 겪는 도내 기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건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