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사 차량보증도 곧 끝나
인천 청라국제도시와 루원시티를 잇는 유도고속차량(GRT) 노선을 달리는 바이모달트램(굴절버스)이 차체 균열과 고압퓨즈 불량 등의 치명적인 제작 결함이 속속 드러나 시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천교통공사에 따르면 GRT는 청라 내 공항철도의 청라국제도시역과 루원시티 내 인천지하철 2호선의 가정역을 잇는 버스 노선(701·702번)이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GRT 인프라를 만들었고 사업 주체인 인천경제청은 교통공사에 GRT 운영을 위탁하고 있다.
교통공사는 지난 2018년 4월 21일 A업체로부터 1대당 16억원에 구매한 굴절버스 4대를 GRT 노선에 투입했다. 굴절버스는 버스와 지하철을 혼합한 신개념 차량으로 버스 2대를 연결한 형태다.
그러나 지난 7월부터 이들 굴절버스에서 차체 균열과 배터리 관련 고압퓨즈 불량 등의 제작 결함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통공사는 최근 약 2개월 간 운행을 잠정 중단하기도 했다. 균열이 심해지면 운행 도중에 차체 결합 부분이 끊어지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특히 교통공사와 A업체에서 근무했던 내부고발자 B씨가 지난달 초 이들 굴절버스가 가진 여러 문제를 폭로하면서 GRT 노선을 이용하는 시민의 불안감이 계속 커지고 있다. B씨가 제기한 문제는 차체 균열을 비롯해 배터리 불량, 중고부품 사용, 누유 현상, 예비부품 부족 등이다. 교통공사도 내부조사 등을 통해 이 같은 문제를 사실로 인정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제작사의 차량보증 기한이 곧 도래한다는 것이다. 교통공사와 A업체의 관련 계약상 제작사의 차량보증 기한은 내년 4월 20일까지다. 교통공사가 차량보증 기한 이후부터 발생하는 고장과 불량을 A업체로부터 무상수리를 받으려면 제작 결함 등 제작사의 책임이라는 것을 반드시 증명해야 한다. 자칫 A업체가 반발하면 법적 소송 등에 휘말려 수리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교통공사는 신교통수단으로 도입한 이들 굴절버스가 졸지에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는데도 차량 전면 교체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있다. 운영 중단 기간 중 안전상에 문제가 없도록 차체 보강 등의 작업을 충분히 했기 때문에 전면 교체까지 갈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유다. 교통공사는 또 이들 굴절버스의 계약 주체인데도 위·수탁협약상 올해까지만 GRT 운영을 맡는다는 것을 이유로 차량보증 기한 이후의 책임을 인천경제청에 떠넘기고 있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차체 균열과 배터리 문제 등 제작 결함이 있었던 것은 맞지만, A업체의 원인조사 및 보강작업으로 현재는 안전한 상태”라며 “차량 전면 교체 등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이어 “이들 굴절버스의 내구연한이 9년이라서 충분히 더 운행할 수 있다”면서도 “차량보증 기한 이후 무상보증을 위한 제작 결함 증명 등에 일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은 인정한다”고 했다.
한편, 이들 굴절버스의 제작 결함과 관련해 A업체의 입장을 듣고자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