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상가들이 하나둘씩 폐업하니까…손님은커녕 지나다니는 사람 보기도 점점 어렵네요”
코로나19 장기화로 폐업하는 소상공인이 늘며 이른바 ‘유령 상가’가 속출하고 있다. 지역 소상공인들은 상가 공실에 따른 유동인구 감소로 지역경제가 더욱 침체 되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는 모습이다.
9일 찾은 동탄2신도시 치동천 인근 점포겸용 주택단지는 점심시간임에도 지나다니는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한산한 모습이었다. 이 단지는 지난겨울만 해도 사람이 붐비는 등 활기찼지만 올해 코로나19 발병 이후 방문객이 급감하며 상권 침체를 겪기 시작했다.
특히 유동인구 감소로 일부 상인들이 상가를 내놓기 시작해 상가 공실률 역시 늘었다. 이곳에 있는 140여개 상가 중 20여곳에는 ‘임대문의’ 딱지가 붙어 있었다.
한 식당에서 만난 권기남씨(55)는 텅 빈 가게에서 쓸쓸히 주방 집기들을 상자에 담고 있었다. 식당을 운영한 지 어느덧 7년차인 권씨는 이달 말 가게를 폐업하기로 결정했다. 주변 가게들이 하나둘씩 폐업하며 유동인구가 줄어들자 자연스럽게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월매출이 1천200만원이었던 그의 식당은 상권이 침체돼 월매출이 100만원 이하로 곤두박질 쳐 200만원에 달하는 임대료도 납부하기 어려워졌다. 벌써 보증금 3천만원도 임대료로 절반 이상 빠져나갔다.
수원지역 상권들도 상황은 비슷했다. 수원에서 유동인구가 많기로 꼽히는 인계동 나혜석거리에서도 ‘임대문의’ 현수막이 걸린 상가를 볼 수 있었다. 장안구에 위치한 북수원아울렛 역시 입구를 들어서자 ‘임대문의’ 현수막이 붙은 점포가 즐비했다. 지나다니는 사람을 찾는 일보다 ‘임대문의’ 현수막을 찾기가 쉬울 정도였다.
이곳의 한 상인은 “처음에는 같이 버텨보자는 분위기였는데 하나 둘씩 폐업하며 찾아오는 손님도 점차 줄고 있다”며 “상인 대부분이 폐업을 고려하는 분위기라 코로나 여파가 더 길어지면 이곳은 아예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하소연했다.
서수원 홈플러스 인근은 더 심각했다. 점포 30개가 입점할 수 있는 한 상가는 12개가 비어 있어 공실률이 40%에 달했다. 인근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하루에 한 명꼴로 가게를 내놓는 임차인들이 찾아오지만 폐업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간판만 걸어두고 보통 2~3개월, 많게는 6개월씩 임대료만 납부하는 ‘유령 가게’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라며 “주변 점포들도 영향을 받아 상권 침체가 가속화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감정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1분기 3.9%, 2분기 3.8%, 3분기 4.2%를 기록하며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지역마다 증가 속도의 차이가 있을 뿐 공실률은 계속 늘고 있다”며 “계약기간이나 투자비용회수를 위해 폐업하지 못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고려하면 공실률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