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중교통 통합 컨트롤 타워인 ‘경기교통공사’가 교통 공공성 강화를 위해 시동을 걸었다.
경기도는 교통 약자와 복지교통 확보를 위한 ‘경기교통공사’가 법인 설립등기 및 사업자등록을 완료함에 따라 이달부터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민선 7기 경기도의 핵심 공약인 ‘경기교통공사’는 도시 및 도농 복합 등 지역별 특성이 매우 다양한 도내 시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통합·관리하는 교통 전담기구이다. 교통공사 설립은 도 단위 광역지자체에서 처음이다.
교통공사는 ▲경기도 공공버스 운영·관리 ▲철도망 구축·운영 ▲대중교통환승시설 확대 ▲신교통수단 운영 등 대중교통 통합 컨트롤 타워 등의 역할을 한다. 특히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대중교통에 대한 방역 강화, 도민 보건·안전 확보 등 도민 교통기본권을 보장하는데도 적극 힘쓸 계획이다.
조직은 1본부(경영기획본부), 4팀(경영기획팀, 준공영운영팀, 광역교통시설팀), 1센터(버스운송센터)로 구성했다. 버스승무사원을 포함한 정원은 총 98명이다. 사업추진을 위한 자본금은 185억원으로 경기도가 전액 출자한다.
청사는 시군 공모를 통해 양주시 옥정동 중심상가지구에 마련했다. 수도권 규제 및 군사보호구역 등 중첩규제로 ‘특별한 희생’을 감내해온 양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배려이다. 도는 교통공사 입주로 민선7기 도정핵심가치인 ‘공정’을 실현하고 북부지역 광역교통발전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공사는 법인 설립등기를 마침에 따라 행정안전부 설립보고 및 지정고시를 완료하고 오는 17일 사업계획, 예산안 및 제규정 의결을 위한 제1회 이사회를 개최한다. 총 정원은 98명으로 직원 공채는 이달 중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공사설립 타당성 용역결과, 향후 5년간 1천839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 1천47명의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정상균 사장은 “설립 초기인 만큼 공공버스 운영 등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서비스의 중단 없는 제공과 조직 안정화에 주력하겠다”며 “버스·철도·환승 등 대중교통을 융합·획기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적용, 도민들의 교통 공공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