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가 인천시의 반대를 무릅쓰고 서울지하철 7호선 인천·부천 구간 9개 역사의 운영권 확보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를 두고 인천교통공사가 퇴직자를 위한 도급역을 늘리려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3일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시는 최근 인천교통공사가 서울 7호선 인천 구간 3개 역사(부평구청·굴포천·삼산체육관역)와 부천 구간 6개 역사(상동·부천시청·신중동·춘의·부천종합운동장·까치울역)에 대한 운영권 이관 관련 협의를 부천시, 서울교통공사와 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다만, 인천시는 인천교통공사가 인력 운영 효율화 방안 등을 협의 전에 수립해야 한다는 조건을 걸어놨다. 인천시는 부천시가 내년부터 부천 구간 역사의 운영권과 관련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고, 그 결과에 맞춰 협의를 시작해도 늦지 않는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현재 이들 역사의 운영권을 가진 서울교통공사도 오는 2022년 10월 이후에나 철수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다.
그러나 인천교통공사는 부천시의 용역결과가 나오기 전에 협의를 통한 업무협약까지 해야 한다며 인천시가 내건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협의를 추진하려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교통공사는 이들 역사의 운영권 확보에 따라 단계적으로 운영·전문인력 등을 확충·투입하고 전담 조직을 구성하려면 오히려 빨리 협의를 끝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 중이다.
이 같은 주장에 인천시의회는 퇴직자를 위한 도급역을 확대하려는 인천교통공사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급역은 인천교통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에게 운영비를 주고 운영권을 위탁한 역사다. 도급역 운영권을 수탁하려면 일정 자격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업자 대부분이 인천교통공사의 퇴직자로 이뤄져 있다. 이 때문에 인천지역 안팎에서는 도급역을 인천교통공사 퇴직자의 돈벌이 수단으로 보고 사업자의 자격 기준 완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고존수 시의회 건설교통위원장은 “인천교통공사가 서울 7호선의 인천·부천 구간 역사의 운영권을 확보하면 도급역이 늘어날 것은 뻔한 일”이라며 “이 문제 등과 관련해서는 최근 인천교통공사에 지적을 해놓은 상태”고 했다.
이에 대해 인천교통공사 관계자는 “인천시가 내건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었던 것은 맞다”면서도 “도급역 확대 우려 등에 대해서는 당장 답을 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