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동부에만 없는 공동물류도매센터…“소외되는 중소유통업 활성화 절실”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몰에 밀려 중소도매업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동부지역 중소도매업 소상공인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경기도내 인구의 25%가량이 동부지역에 밀집돼 수요가 높지만, 다른 지역과는 달리 중소유통업자를 위한 공동물류도매센터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14일 경기동부수퍼마켓협동조합에 따르면 성남과 용인, 광주, 여주, 이천, 하남, 양평 등 경기동부 7개 시ㆍ군의 인구는 320만여명으로, 전체 경기도 인구(1천320만여명)의 24%에 달한다. 이들 지역에 있는 영세 슈퍼마켓 등 중소도매업체는 3천500여개로 추산된다.

이처럼 경기동부지역은 대규모 수요를 갖고 있음에도 이들 지역 내 중소도매업 소상공인들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타지역과는 달리 중소도매업 소상공인들을 위한 공동도매물류센터가 없어서다.

공동도매물류센터는 개별 물류창고를 갖추기 어려운 영세 슈퍼마켓들이 조합을 만들고 조합 차원에서 물류센터를 운영해 물류비 절감 등을 꾀하는 시설이다. 시설을 이용하는 슈퍼마켓은 이용 전과 비교하면 매출이 7~9% 증가하는 효과를 누린다. 또 물류비용 절약으로 소비자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역할도 한다.

도내 공동도매물류센터는 총 7곳으로 서부지역은 안산ㆍ광명ㆍ부천, 남부지역은 수원, 북부지역은 의정부ㆍ고양ㆍ남양주에 위치해 있다.

특히 경기남부수퍼마켓협동조합이 운영하는 ‘수원중소유통 공동도매물류센터’의 경우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조합원 증가로 취급상품이 2016년 7천652개에서 지난해 7천830개로 다양해졌으며 공동구매 매출도 2016년 294억원에서 2019년 360억원으로 증가했다. 규모가 커지면서 기존 물류센터에 대한 증축 공사도 예정돼 있다.

공동도매물류센터 건립에 필요한 예산은 중소벤처기업부와 광역지자체ㆍ기초지자체에서 나눠서 마련한다. 특히 물류센터 건립 인허가권을 가진 기초지자체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다만 현재까지 경기동부지역에서는 선뜻 물류센터 지원에 나서는 지자체가 없어 건립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경기동부수퍼마켓협동조합 관계자는 “최근 물류센터 화재 등으로 인해 물류센터에 대한 인식이 안 좋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공동물류도매센터는 통상 생각하는 대기업의 대형 물류센터가 아닌 소상공인들의 위한 창고와 같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침체되고 있는 경기동부지역 중소유통업에 활력을 불어넣으려면 전환점이 필요하다”며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공동물류도매센터 설립이라는 지역 소상공인들의 염원이 이뤄질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