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인들이 올해 경영환경을 진단한 사자성어로 ‘노심초사(勞心焦思)’를 꼽았다. 내년 경영환경을 전망하는 사자성어로는 ‘토적성산(土積成山)’이 선정됐다.
14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2~7일 국내 3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자성어로 풀어 본 중소기업 경영환경 전망조사’ 결과, 36.3%가 올해 경영환경을 진단하는 사자성어로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운다는 뜻의 노심초사를 꼽았다고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코로나19 비상 경제 상황에서 경영 위기에 대한 불안한 마음과 기업 유지를 위해 고민이 많았던 한 해로 진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심초사 다음으로는 전에 들어본 적이 없다는 뜻의 전대미문(前代未聞ㆍ23.3%), 바람이 강하게 불고 비가 많이 온다는 뜻의 풍우대작(風雨大作ㆍ21.3%), 일이 급박하다는 의미의 조불급석(朝不及夕ㆍ11.3%), 남보다 먼저 일을 도모하면 남을 누를 수 있다는 뜻의 선즉제인(先則制人ㆍ7.7%) 등의 순이었다.
내년 경영환경을 전망하는 사자성어로는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9.7%가 흙이 쌓여 산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이 쌓여 큰일을 성취한다는 의미의 토적성산을 꼽았다.
토적성산 다음으로는 백번 꺾여도 굴하지 않는다는 뜻의 백절불굴(百折不屈ㆍ22.3%), 가야 할지 머물러야 할지 결정하기 어렵다는 뜻의 거주양난(去住兩難ㆍ20.7%), 자식에게 땔나무 캐오는 법을 가르치라는 것으로 장기적인 안목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의 교자채신(敎子採薪ㆍ18.0%), 잃을 수 없는 절호의 기회를 의미하는 물실호기(勿失好機ㆍ9.3%) 등의 순이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