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학교 코로나19 탓 원격수업 돌입에 ‘돌봄 공백’ 우려

교육당국, 돌봄 소외 학생 파악조차 못해

인천지역의 모든 학교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원격수업에 돌입하면서 또다시 돌봄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교육당국이 돌봄 안전망에서 빠져있는 학생의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등 사실상 손을 놓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15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역 내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가 이날부터 등교를 중단하고 원격수업에 들어갔다. 맞벌이 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학생은 신청을 통해 학교에서 운영하는 긴급돌봄 교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학생의 돌봄 공백 우려가 크다. 부모가 돌봄 신청을 하지 않거나 거부할 경우에 시교육청과 인천시 등 교육당국이 이를 강제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부모가 돌봄 이용 거부 시 과태료 부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아동복지법 개정안은 내년 3월에야 효력을 갖는다. 앞서 지난 9월 용현동 화재 사건으로 1명이 숨지고 1명이 큰 부상을 입은 초등학생 형제들도 부모가 돌봄 교실을 거부하면서 이용하지 않았다.

특히 시교육청은 인천에서 돌봄 교실을 신청하지 않은 14만5천여명의 학생 중 긴급돌봄이 필요한 데도 집에서 방치 중인 학생의 현황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교육청이 파악한 것은 지난 10월 시와 합동으로 1개월간 미인정 결석일이 3일 이상인 학생 201명을 조사한 내용이 전부다. 이 방법으로는 지난 9월 사고를 당한 용현동 형제처럼 출결에는 문제가 없지만 돌봄교실을 이용하지 않는 학생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급하게 원격수업 체제로 들어가면서 돌봄을 받지 못하는 학생의 현황 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내년부터 맞벌이 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학생 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실태조사 등을 추진하려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