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경영난에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해 지난 21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주인이 여러번 바뀌면서 도산과 대규모 정리해고 등을 겪었던 쌍용차가 또 다시 법원에 운명이 맡겨졌다. 2004년 중국 상하이차가 인수해 새출발을 했으나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2009년 법정관리를 신청한 지 11년 만이다. 이후 인도 마힌드라그룹을 새주인으로 맞아 경영 정상화에 노력, 2016년 흑자를 기록하는 등 회생 조짐을 보였으나 이렇다 할 신차를 내놓지 못하고 판매도 하락세에 접어들면서 또 존폐 기로에 놓이게 됐다.
쌍용차의 연체 원리금은 1천650억원 규모다. 법원은 기업 회생절차 신청서와 회계법인 등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기업의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크다고 인정하면 회생절차를 개시한다. 쌍용차는 최대 3개월 내 대출금 문제를 해결해 보겠다는 계획이지만 성사되지 못할 경우 1만여명의 일자리가 위기에 직면한다. 새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고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법원이 청산 결정을 내릴 가능성도 적지않다. 쌍용차는 올해 3분기 931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15분기 연속 적자를 냈다. 이 기간 영업손실이 6천억원을 넘는다.
쌍용차 노동자들은 갑작스런 ‘기업회생절차 신청’에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노동자들은 상하이차가 2009년 회생절차를 신청해 같은해 총 인원의 36%에 이르는 2천646명이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때 1천666명이 희망퇴직 등으로 퇴사했고, 980명은 정리해고 됐다. 노동자들은 11년 동안 복직 투쟁을 거쳐 올해 5월에야 겨우 복직을 마무리했는데, 또 회생절차에 들어간다니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타격은 쌍용차 협력사에도 미치게 된다. 쌍용차의 1차 협력업체는 448곳으로 종업원은 16만8천559명에 달한다. 쌍용차가 청산되면 7천여 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 판매직까지 합할 경우 직접적 영향을 받는 일자리가 1만여개에 이른다. 협력업체 126곳은 쌍용차 매출의존도가 5%를 넘어 이들이 고용하는 1만3천여명도 간접 영향권에 들어간다. 부도까지 가지 않더라도 경영 여건이 악화돼 구조조정 등을 통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 평택 등 지역경제 전반에 타격도 우려된다.
쌍용차가 최악의 상황인 ‘청산’에 이르게 해선 안된다. 수만명의 생계가 달린 심각한 문제다. 또 다시 노동자들의 대량 해고가 재연되지 않게 쌍용차를 살리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주주, 채권자, 임직원, 노조 등이 조금씩 양보하고 희생을 분담해 회생에 온 힘을 모아야 한다. 정부는 쌍용차 문제가 관련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피해가 예상되는 협력업체의 충격 완화 정책 지원 등이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