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작년대비 국어ㆍ수학 가형 어려웠다…“코로나 학력격차는 없어”

올해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해보다 국어, 수학 가형이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상위권과 중위권 간, 재학생과 졸업생 간 학력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예년과 견줘 특이점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수능 출제기관인 평가원은 지난 3일 치러진 2021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을 보면 국어영역은 144점, 이공계열이 많이 선택하는 수학 가형은 137점, 인문 사회계열 학생이 주로 치는 수학 나형도 137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시행된 2020학년도 수능의 경우 국어영역은 140점, 수학 가형은 134점, 수학 나형은 149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나타내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지고,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낮아진다.

2021학년도 수능은 전년도보다 국어 영역과 수학 가형은 어려워졌고, 수학 나형은 쉬워졌다는 뜻이다. 특히 입시 전문가들이 애초 평이하게 출제됐다던 국어영역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현 수능 체제가 도입된 2005년 이래 2019학년도(150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드러나 수험생들에게는 만만치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평가원 관계자는 “중위권이 줄어드는 특이점이나 졸업생ㆍ재학생 간 성적 차이가 예년보다 커진 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수험생들은 23일 학교나 시험 지구 교육청을 통해 성적통지표를 받게 된다.

한편 2021학년도 수능 응시 수험생은 42만1천34명으로, 1994학년도 수능이 시행된 이래 가장 적었다. 전 과목 만점자는 재학생 3명, 졸업생 3명 등 총 6명이었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