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신항 내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공급장을 조성 할 때 주민의견 수렴 및 안전성 담보 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24일 시에 따르면 최근 해양수산부가 마련한 4차 항만기본계획 및 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에 대한 중앙항만정책심의에서 LNG 벙커링 터미널 설치 사업에 대해 이 같은 조건을 내걸고 조건부 동의했다. 시는 연수구 송도동 인천신항 LNG 인수기지가 송도국제도시 아파트와 2~3㎞ 밖에 떨어져있지 않는 만큼, 사업 추진 전 주민의견 수렴 등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봤다. 시는 또 별도의 안전성 담보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 9월 4차 항만기본계획에 인천신항 LNG 인수기지에 호안 167m, 접안시설 130m, 매립면적 4천810㎡ 규모의 LNG벙커링 인프라 구축사업을 신규사업으로 담았다. LNG벙커링은 기존 벙커C유, 경유 등의 연료유 대신 친환경 연료인 LNG를 선박의 연료유로 공급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당시에도 시는 해수부에 ‘LNG벙커링은 위험시설물로 안전성, 환경 등 문제점이 있어 면밀한 검토를 요구한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특히 송도 주민들은 이 같은 해수부의 LNG 벙커링 사업 계획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송도 주민은 LNG 관련 시설 자체를 폭발 위험이 있는 시설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도 주민은 지난 1일 시의 시민청원에 ‘해수부가 추진하는 거대 선박 초대형 가스 충전소인 LNG 벙커링 강력 반대한다’는 의견을 올린 상태다. 이날 현재 이 의견은 2천840명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달 31일까지 지지수가 3천명을 넘으면 시는 10일 이내에 공식 답변을 해야 한다.
시 관계자는 “LNG 벙커링 시설은 위험시설인 만큼 주민 수용성 확보가 최우선”이라고 했다.
한편, 4차 항만기본계획엔 인천신항 항만기능 확장을 위해 신항 진입도로 지하화 및 확장, 컨테이너 부두 추가 조성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또 인천 내항 항만재개발에 따른 1·8부두 기능폐쇄 및 친수문화공간 조성, 연안항의 국제여객 부두의 연안여객 기능 전환, 북항 북성포구 및 월미도의 친수공간 확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