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 수립, 인천 내항1·8부두 개발 속도

정부가 9천억원 규모의 인천 항만재개발 사업 추진을 확정하면서 인천내항 1·8부두와 영종도 매립지 개발 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개발지역 지자체와 시민 등의 참여와 개발이익의 지역 환원도 보장한다.

해양수산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항만재개발 기본계획(2021~2030)’을 발표했다. 항만재개발 기본계획은 앞으로 10년간의 항만재개발 정책 방향과 대상사업 등을 담는 국가 최상위 계획이다.

이 계획엔 인천의 인천내항 1·8부두와 영종도 매립지 개발 사업이 담겨있다.

해수부는 인천내항 1·8부두를 원도심 활력 제고형 사업으로 분류했다. 낙후한 원도심 재생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배후도심과 연계해 복합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규모는 45만3천㎡, 사업비는 총 5천3억원이다.

해수부는 또 해양산업 육성·지원 사업으로 333만㎡ 규모의 수도권 종합 관광·레저 단지를 조성하는 영종도 매립지 개발 사업을 2022년까지 끝내기로 했다.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이 사업은 4천76억원을 들여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한 관광·해양·레저시설을 만들어 영종도를 국제적 해양관광, 교육연구단지로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해수부는 이 사업들의 공공성 강화와 지역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공공시설지구 조성원칙과 공공시설 확보 기준을 최초로 도입했다. 인천내항 등 도심연계를 통한 공공성 확보가 필요한 사업과 해양관광·물류산업 유치목적의 부지조성에 공공시설 비율을 각각 50% 이상, 30~40% 이상으로 못 박았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앞으로 사업 추진 시 공원과 주차장 등을 충분히 확보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민과 지자체, 항만공사의 참여를 강화해 개발에 따른 사업 효과가 지역에 가도록 할 방침이다. 또 해수부는 개발이익 지역환원 방안도 이번 계획에 담았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신속한 사업 추진이 이뤄지도록 항만공사 소유 부지에 대해 재개발을 추진하는 경우 3자 공모 절차를 생략하도록 근거를 마련한다. 내년 인천내항 재개발 사업에 대한 사업시행자 선정 절차를 밟는다.

박준영 해수부 차관은 “항만공간을 도시와 연계하는 새로운 성정 거점으로 만들고, 바다를 시민들의 품으로 돌려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