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없어요”…병원·요양시설 선제검사 강화에 현장선 ‘볼멘소리’

정부가 코로나19 3차 유행이 집중되고 있는 요양병원·시설에 대해 선제검사를 강화하기로 했지만 현장에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1일 행정명령을 통해 감염취약시설 모든 종사자의 코로나19 선제검사 주기를 수도권 1주, 비수도권 2주로 단축(기존에는 각 2주, 4주)했다. 그런데 일주일이 지난 28일 지침을 바꿔 수도권, 비수도권에 상관없이 전국 감염취약시설 종사자들이 매주 선제검사를 받도록 했다.

이에 경기도를 포함한 전국 각 시ㆍ군은 관내 감염취약시설에 공문을 보내 종사자들이 기관 내 의료인력이나 기관 외 촉탁의(계약의사)를 활용해 선제검사를 실시하라고 했다. 이때 촉탁의는 30인 이상 시설에 대해 지역의사회(의사협회, 한의사협회, 치과의사협회 등) 추천을 통해 지정할 수 있으며 활동비용은 기관장이 지급한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현장을 모르는 소리라며 불만의 목소리를 터뜨리고 있다.

시설 내 의료인력은 환자를 보살피는 데 집중하고 있고 시설 외 촉탁의 역시 코로나19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매주 종사자 검사를 하느냐는 것이다. 촉탁의 추가 지원 등 현실적인 방안 없이는 선제검사를 통한 감염고리 차단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일례로 수원지역에 있는 A요양병원은 자체적으로 종사자 검사를 치르는 데 한계가 있어 인근 대학병원의 의사를 촉탁의로 두고 싶다고 요청했으나 대학병원 일정상 거절당했다. A요양병원 종사자들은 결국 각자 보건소를 찾아 선제검사를 받고 확인증을 받아와야 하며, 그마저 업무 공백 최소화를 위해 ‘오프’ 시간을 이용해서 선제검사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군포지역 B요양시설도 마찬가지다. B시설은 군포지역 개인병원 의사가 촉탁의로 지정됐는데 의사 본인 소속 병원 업무를 처리하기도 벅차 매주 안양까지 이동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7년째 B시설에서 근무 중인 한 종사자는 “의사가 본인을 촉탁의에서 빼주거나 추가 의사를 지원해달라며 지자체와 의사회에 요청했지만 ‘그럼 시간 되는 다른 촉탁의를 구해라’는 답변만 들었다고 한다”며 “의사 마음은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직원들 입장에선 갑갑한 게 사실이다. 정부가 지원책부터 늘리고 (매주 검사를) 의무화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경기도내 감염취약시설은 총 3천457개로 현장 인력 증원 등이 요구된다. 중대본 관계자는 “최근 요양병원발(發) 확진자 증가 추이가 심상치 않아 결정한 것”이라며 “현장 인력 부분이나 종사자 관리 강화 등을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경기지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56명이며 파주 요양원, 고양 요양원, 부천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23명(8.9%)이 늘었다. 전날 국내 코로나19 누적 사망자 819명 중 213명(33.3%)도 이 같은 감염취약시설에서 나왔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