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남양주와 서울 강변역을 잇는 강변북로에 ‘고속 BTX’(Bus Transit eXpress)가 도입된다. 또 계양·창릉·대장 등 3기 신도시 개발로 교통 수요가 증가하는 개화 나들목(IC)∼당산역 간 올림픽대로에도 BTX가 달리게 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수도권 광역버스 기반 교통체계 개선 방안을 수립해 수도권 2곳에서 BTX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BTX란 철도처럼 정시성과 대용량 수송 능력을 갖춘 신개념 버스 서비스다. BTX가 달릴 고속 전용차로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동식 중앙분리대(Road Zipper) 도입이 관건이다. 이동식 중앙분리대는 출퇴근 교통 상황에 따라 중앙분리대를 이동해 차선을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시설이다. 예를 들어 출근 시간대인 오전 7∼9시 서울 방향 차로는 막히고, 경기도 방향 차로는 여유가 있는 점을 고려해 경기도 방향 1차로를 서울 방향 버스전용차로로 활용하는 것이다.
동부권 강변북로와 서부권 올림픽대로에 BTX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용역 결과, 사업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변북로는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지구 개발 등으로 교통수요가 늘면서 대중교통 확충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또 출근 시간대 서울 방향과 경기도 방향의 통행 속도는 각각 평균 시속 20㎞, 63㎞로 조사됐다.
교통량 분포는 서울 방향과 경기도 방향이 6대 4로 나타남에 따라 이동식 중앙분리대 운영이 가능하다고 대광위는 설명했다.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교통량 분포가 6대 4 이상으로 불균형할 때 가변차로 적용이 가능하다.
강변북로에 BTX를 도입할 경우 버스 통행시간은 62분에서 32분으로 줄어들고, 연간 220만명이 혜택을 보게 된다.
올림픽대로도 계양·창릉·대장 등 3기 신도시 개발로 인해 교통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이다. 서울 방면과 경기도 방면 출근 시간대 통행속도는 각각 평균 시속 30㎞와 70㎞, 교통량 분포는 6.5대 3.5로 나타났다. 해당 노선에 BTX가 도입되면 버스 통행시간은 기존 93분에서 60분으로 단축된다. 또 연간 약 104만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서부권 BTX 사업은 강변북로 시범사업 내용을 반영해 2023년부터 시행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용역 결과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나온 만큼 기본 및 실시설계를 세우고 지자체와 사업을 논의해나갈 방침”이라며 “안전성 확보 방안 등을 면밀히 검토한 뒤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