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착하면 익수자 이미 사망해있기도”
24시간 인천 해역을 지키는 인천해양경찰서 구조대의 인원이 6명에 불과해 인력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해역엔 북방한계선(NLL) 인근 특정해역이 있고, 수도권 낚시객들이 많이 몰리는 등 치안수요가 높기 때문에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인천해경 구조대는 강화도부터 이작도 인근까지 여의도 면적의 11배인 1만190㎢ 해양을 관할한다. 구조대는 총 20명으로, 24시간 근무하는 1개 팀당 인원은 6~7명 뿐이다.
해경 구조대는 구조를 전문적으로 하는 구조직별로 해난사고·익수·고립 등의 신고가 들어오면 출동해 구조하는 역할을 한다.
인천은 특정해역이 있어 어선의 통행이 많고, 해난사고까지 증가하고 있어 인력 충원이 절실하다.
2019년 인천 해역에서 발생한 해난사고는 총 360건이며, 사망자는 19명이다. 2020년(1∼11월) 해난사고는 386건으로 2019년 대비 10%가량 증가했고, 사망자(24명)와 실종자(4명)도 늘었다. 사고로 1개월에 2명 이상 사망한 꼴이다.
인천해경 구조대 관계자는 “거리가 먼 곳의 신고가 들어오면 도착했을 때 익수자가 이미 사망한 경우가 많다”며 “신고가 잇따라 들어올 때는 1곳만 가야 하는 등의 인력 한계가 있어 충원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다른 해경 구조대와 비교해봐도 인천의 구조대 인력은 부족하다. 4천600㎢의 해역을 관할하는 완도해경과 9천718㎢를 관할하는 통영해경 구조대는 모두 22명이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인천은 신고가 들어오면 가까운 파출소에서 초동 대응을 하고, 위급한 경우 경비함정, 특공대에서도 출동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올해 2명 더 충원할 예정”이라고 했다.
김종선 목포해양대 해양경찰학부 교수는 “경비함정이나 특공대는 구조를 전문적으로 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인명사고에 대응할 구조대 확충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인천은 해역이 넓기 때문에 각 파출소에 구조대를 배치해 빨리 출동하게 해야 구조대의 피로도와 인명사고를 모두 줄일 수 있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