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수 가천대 길병원 교수, “국민들 제 때 의료서비스 받는 환경 희망”

 

“올해에는 코로나19가 진정돼 국민들이 적절한 의료를 제 때에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랍니다”

가천대길병원 응급실을 관리하는 총 책임자 임용수 가천대 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속에 가려진 응급환자에 대한 정부의 노력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응급실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병원을 지키는 1차 방역 저지선이다. 응급실이 뚫리면 병원 전체가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응급환자의 코로나19 확진 가능성을 가려내는게 중요하다. 임 교수는 그런 응급실을 관리하는 총 책임자다. 병원에 조성한 선별진료소에서 직접 방문객의 검체를 채취하는 등 길병원의 방역을 위해 안팎에서 다양한 일을 하고 있다. 임 교수의 결정에 따라 응급실 환자의 응급실, 일반 병실 입원 등이 정해지기도 한다. 임 교수는 환자를 판단할 때 최대한 보수적으로 기준을 세워놓는다고 설명한다. 임 교수는 “중앙에서 열이나 증상 등으로 분류 기준을 정해놓기는 했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이 의사 재량에 맡겨져 있다”며 “무증상자가 있을 수 있기에 보수적인 기준을 세우고 판단하려고 한다”고 했다. 임 교수는 보호자 중 확진자가 나왔던 사례를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 꼽는다. 보호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원래 확진자가 아니었던 환자도 확진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임 교수는 “환자의 보호자에 대해서도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판단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던 계기”라면서 “지금은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 대해 기본 검사를 하고 있다”고 했다. 임 교수는 코로나19로 일선 병원이 일반 응급환자를 받지 못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 교수는 “지금 정부는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병동 확보를 위해 일반 퇴원자가 발생하면 이를 코로나19 병상으로 바꾸고 있다”고 했다. 이어 ”결국 이렇게 되면 나중에는 응급 환자를 받고 싶어도 병상 부족 등으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며 “정부가 코로나19 환자 뿐 아니라 일반 환자에 대한 진료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