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운전자 10년 새 282% 증가… 초고령사회 대비해야

고령 운전자 인구가 10년 새 282%나 증가하고 같은 기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도 227% 늘어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0일 고령 운전자의 현황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한 ‘초고령사회 대비 고령 운전자를 고려한 도로교통시설 개선방향 연구’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교차로 교차각, 신호 반응시간에 따른 교차로 시거(장애물 또는 위험요소를 인지하고 제동을 걸어 정지 혹은 장애물을 피해서 주행할 수 있는 길이), 도로표지 등을 개선하고 첨단 기술을 통해 고령 운전자의 교통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전국의 65세 이상 고령 운전면허 소지자는 2009년 118만명에서 2019년 333만명으로 282%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역시 1만2천건에서 3만3천건으로 227%나 증가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고령 운전자가 늘어남에 따라 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고려한 도로교통시설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교차로의 교차각을 최소 75° 이상으로 유지해 시야를 확보하고 신호교차로 시거 산정 시 반응시간을 현행 6초에서 8.5초로 늘려 교차로 상황에 충분히 대처할 여유를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령 운전자는 도로표지를 판독하는 시간이 길고 오독률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명개수가 10개일 때 20대의 판독 시간은 4초가 채 되지 않지만 60대는 8초, 70대는 10초가량 걸린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고령 운전자를 위해 도로 표지판의 규격을 키우고 도로 형태와 일치하는 도로 안내표지를 사용하는 등 도로표지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회전경로에 노면표시와 유도표지를 설치해 운전자의 판단을 돕는 방향도 담고 있다.

김병관 연구위원은 “고령자의 신체적ㆍ정신적 기능이 떨어진다고 이들의 운전과 이동권을 무조건 제한할 수는 없으므로, 고령 운전자를 고려한 도로 교통안전 확보는 미래 교통환경의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