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우선 접종 권장 대상자로 최대 3천600만명을 지정해 순차적으로 접종에 나선다는 방침을 정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 규모를 3천200만∼3천600만명 정도로 추정하고 현재 구체적인 명단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대본이 이날 공개한 '우선접종 권장 대상(안)'은 크게 9개 군으로 나뉜다.
구체적으로는 ▲ 의료기관 종사자 ▲ 집단시설 생활자 및 종사자 ▲ 노인(65세 이상), ▲ 성인 만성질환자 ▲ 소아·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및 직원 ▲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 50∼64세 성인 ▲ 경찰·소방 공무원·군인 ▲ 교정시설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및 직원 등이다.
정 본부장은 "우선접종 권장대상과 관련해서는 세부적인 대상자 파악과 의견 수렴을 거쳐 명단을 확정하고 이어 백신 도입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 국민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요양병원 등 집단시설의 노인이 1순위 우선접종 대상으로 정해졌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우선 접종 권장 대상 안에 표시된 순서가 우선순위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정 본부장은 추가 혹은 재접종의 무료 여부에 대해 백신 효과의 지속 기간이나 다른 의학적, 공중보건학적인 이유로 재접종이나 추가접종이 결정되지 않는 선에서는 무료접종을 추가로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백신별 도입 시기나 물량 등이 다른만큼 개인이 백신 종류를 선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금주 중 '예방접종대응협의체'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운영계획과 부처별 지원 역할, 세부 이행과제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면서 "범부처 및 민·관 협력을 통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