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선 접종 대상자 최대 3천600만명…2월부터 국내 도입"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 연합뉴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 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우선 접종 권장 대상자로 최대 3천600만명을 지정해 순차적으로 접종에 나선다는 방침을 정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자 규모를 3천200만∼3천600만명 정도로 추정하고 현재 구체적인 명단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대본이 이날 공개한 '우선접종 권장 대상(안)'은 크게 9개 군으로 나뉜다.

구체적으로는 ▲ 의료기관 종사자 ▲ 집단시설 생활자 및 종사자 ▲ 노인(65세 이상), ▲ 성인 만성질환자 ▲ 소아·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및 직원 ▲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 50∼64세 성인 ▲ 경찰·소방 공무원·군인 ▲ 교정시설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및 직원 등이다.

정 본부장은 "우선접종 권장대상과 관련해서는 세부적인 대상자 파악과 의견 수렴을 거쳐 명단을 확정하고 이어 백신 도입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 국민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요양병원 등 집단시설의 노인이 1순위 우선접종 대상으로 정해졌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우선 접종 권장 대상 안에 표시된 순서가 우선순위의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정 본부장은 추가 혹은 재접종의 무료 여부에 대해 백신 효과의 지속 기간이나 다른 의학적, 공중보건학적인 이유로 재접종이나 추가접종이 결정되지 않는 선에서는 무료접종을 추가로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백신별 도입 시기나 물량 등이 다른만큼 개인이 백신 종류를 선택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금주 중 '예방접종대응협의체'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운영계획과 부처별 지원 역할, 세부 이행과제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면서 "범부처 및 민·관 협력을 통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